1년여 만에 신작 ‘햇빛샤워’ 내놓은 극작가 겸 연출가 장우재
극작가 겸 연출가 장우재(44)는 일그러진 현대사회 속 소외된 이들의 이야기에 천착해 왔다. 2013년 초연한 ‘여기가 집이다’는 고시원을 전전하는 인간 군상의 삶을 따뜻한 시선으로 그려 호평받았다. 이어 한국전쟁 피란민의 눈에 비친 현대의 서울을 그린 ‘환도열차’, 이라크 테러집단에 아들을 잃은 아버지의 이야기인 ‘미국 아버지’까지, 현대사회의 어두운 그림자를 섬세하게 빚어낸 그의 작품들은 매번 연극계의 이목을 집중시켜 왔다.
서울문화재단 제공
극작가 겸 연출가 장우재는 “비록 극 속 인물들의 희망은 꺾이지만, 작품과 관객들의 관계 속에서 진짜 희망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문화재단 제공
서울문화재단 제공
●사회 부조리 간결하고 위트있게 풀어내
그가 1년여 만에 들고 온 신작 ‘햇빛샤워’에 쏟아지는 관심도 뜨겁다. 지난해 남산예술센터의 희곡페스티벌에서 낭독공연으로 처음 공개됐을 때 “사회의 부조리를 간결하고 위트 있게 풀어냈다”는 평가를 받은 작품으로, 치밀한 수정 과정을 거쳐 지난 9일 남산예술센터 드라마센터 무대에 올랐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가난에서 벗어나려는 백화점 매장 직원 ‘광자’와 연탄나눔 봉사를 하며 협동조합을 꿈꾸는 소년 ‘동교’의 뒤틀린 삶 속에서, 비좁은 창으로 들어오는 햇빛처럼 잡힐 듯 잡히지 않는 희망을 이야기한다.
●“관객이 생각할 만한 질문 던지는 것 중요”
지난 14일 남산예술센터에서 만난 장우재 연출은 “감정적 자극은 최소화하고 최대한 담담한 어조를 유지했다”고 말했다. 그는 ‘여기가 집이다’ 공연 당시 “가난한 사람들을 낭만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한줄 평을 보고 신경이 쓰였다고 한다. “‘낭만적이다’라는 시선은 그만큼 작품이 정서에 많이 기댄다는 뜻이었을 겁니다. 저는 연극의 정서적 가치뿐 아니라 인식적 가치도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관객들을 울리고 웃기는 것도 좋지만, 관객들이 사유해볼 만한 질문을 던지는 것 말이죠.”
‘햇빛샤워’는 관객들을 꼬리에 꼬리를 무는 사유로 끌어들인다. 백화점 매니저로 올라서기 위해 성(性)을 이용하는 광자에 대해선 복합 다단한 시선을 가감없이 드러낸다. “사회적인 지위를 높여 희망을 찾으려는 ‘광자적인 삶’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대해 스스로에게 질문했어요. 허황된 삶인 건 사실이지만, 그런 사람들의 옆모습을 사랑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모든 이해관계를 초월한 이타적인 삶을 꿈꾸는 동교는 지극히 비현실적인 인물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하지만 그는 “한 지인으로부터 직접 들은 사례에 기반한 인물”이라면서 “실제로 종종 마주하기도 하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청년상”이라고 설명했다.
동교는 ‘관계 없는 삶’에 대한 꿈이 무너졌다며 스스로 세상을 져버리고, 광자 또한 욕망했던 것들을 얻은 순간 모든 것을 놓아버린다. 희망이 눈앞에 있던 이들이 왜 그런 선택을 해야 했는지, 작품을 통틀어 가장 해석이 분분한 대목이다.
●“충격적 결말 속 숨은 주제 생각해 봤으면”
“지나친 순수성, 지나친 욕망은 지금처럼 만만찮은 사회에서 설 자리가 없습니다. 갑작스러운 파국이 가져다주는 충격, ‘왜 그랬을까’ 하는 질문을 통해 작품이 가리키는 현실을 바라봐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여기가 집이다’로 대한민국연극대상 대상과 희곡상을 거머쥔 그는 ‘환도열차’와 ‘미국아버지’까지 연이어 각종 연극상을 휩쓸고 있다. 전성기라는 평가가 과분하지 않다. 잠시 연극계를 떠나 한국영화아카데미에 들어가기도 했지만, 다시 연극계로 돌아와 ‘장우재’라는 브랜드를 구축해 가고 있다. 그는 “1년에 작품 한 편만 제대로 만들 수 있다면 만족한다”면서 “부담이 없지 않지만 작품을 만드는 것 자체가 큰 즐거움”이라고 말했다. 공연은 오는 26일까지. 전석 3만원. (02)758-2150.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5-07-16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