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김주영 그림 최석운
바로 그때였다. 길세만의 뒤통수를 치는 생각이 있었다. 위인이 그를 수행시켜 그토록 먼 산채로 되짚어 온 까닭이 무엇인지 어렴풋이 짚이는 것이 있었기 때문이다. 산채 어딘가에는 적당이 숨겨둔 장물이 있다는 것이었다. 처음 적당을 소탕할 적에 사람 잡는 데만 골똘했던 나머지 적당이 그동안 행상인들로부터 탈취한 장물들 숨긴 것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던 게 사실이었다. 두령이란 놈은 소금 상단이 놓쳐버린 것이 뭔지 꿰뚫어 보고 있었고, 이제 숨겨둔 장물들을 회수하여 도타할 궁리를 하는 것이었다. 필경 길세만으로 하여금 그 장물을 운반하게 하려는 속셈인 것이었다. 내성에서 발행하여 산채까지 회정할 동안 눈여겨본 경험으로는 단 한 발짝이라도 헛걸음을 내디딜 위인이 아니었기 때문이었다. 모든 행동거지가 자로 잰 듯 여축이 없었다.
이윽고 아래에서 헤매던 위인이 마댓자루 하나를 어깨에 메고 마루 위로 고개를 디밀어 올렸다. 길세만은 그때를 놓치지 않고 뜯어냈던 판자로 위인의 면상을 후려쳤다. 아쿠, 하는 외마디 소리와 함께 위인의 몸둥이가 마룻장 아래로 나가떨어졌다. 사이를 두지 않고 같이 뛰어내린 길세만이 혼절한 위인을 아갈잡이하고 뒷결박을 진 다음 법당으로 끌어올렸다. 그는 지체 없이 뜯어낸 판자를 본래대로 복구시켜 흔적을 없앤 다음 자정을 넘긴 시각을 불문하고 나귀 몰듯 재촉하여 샛재 주막에 당도한 것이었다. 아직은 자신이 저지른 일의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이 올지갈지했던 길세만은 정한조에게 묻지도 않은 말을 길게 늘어놓았다.
“처음에는 한몫을 뚝 떼어준다는 말에 솔깃하여 내성에서 한나무재까지 따라올 동안 입안에 혀같이 고분고분했습지요. 아니래도 곤경에 빠진 시생의 팔자를 고쳐주겠다는데, 화들짝 반기지 않을 사람이 어디 있겠습니까. 그런데 암자에서 헛코를 골다가 저 혼자 숨겨둔 장물을 찾으려고 몰래 법당 아래로 내려간 것은 위인이 나를 믿지 않고 있다는 증거겠으니, 그때서야 아차 해서 모골이 송연하고 식은땀이 흘렀습니다. 장물을 맞춤한 장소에 옮겨 놓은 뒤에는 필경 나를 척살할 심보라는 것을 깨달은 것이지요.”
“법당 아래로는 두 사람 근력으로는 못다 옮길 장물이 쌓여 있기도 했겠지. 임자 몰래 장물 숨겨둔 곳으로 기어든 것은 나름대로는 영악하다는 궐자가 저지르지 말았어야 할 실책이었네. 사람의 행동거지가 자로 잰 듯 정확하다 해서 잠깐 실수가 없으란 법은 없지. 임자가 위인을 믿었듯이 궐자도 임자를 믿었어야 했네. 그러나 그렇게 되었더라면, 임자와 우리는 두 번 다시 대면할 일도 없었을 터이지.”
“도감 어른, 시생이 죽을죄를 지었습니다. 시생이 발붙이고 살아갈 곳이 도대체 도감 어른 휘하 말고 또 어디 있겠습니까. 위인에게 귀가 솔깃해서 고분고분 뒤따라 다녔습니다만, 마음속으로는 자나깨나 찜찜하고 거북해서 도무지 대궁밥인들 목구멍에 넘어가지를 않고 노숙하든 숙소참에 들든 도무지 잠들 수가 없었습니다.”
“임자의 처분은 반수 어른의 분부에 달렸거늘 나한테 매달려보았자, 지금은 아무 소용이 없다네. 그 암자에 숨겨둔 장물에는 손을 댄 사람이 없겠지?”
“그럼요. 고스란히 있을 것입니다.”
“그곳에 있는 장물은 모두 십이령을 넘나들었던 우리 상단이 목숨까지 바치면서 탈취당한 패물과 전대들이 아닌가. 이제야 그 전대들이 임자를 찾아가게 되었네. 설마 임자가 장물에 손을 대지는 않았겠다?”
“아이구…도감 어른, 시생이 지은 죄가 없지 않은 터에 언감생심 그런 간특한 짓을 저질렀겠습니까. 대명천지에 날벼락 같은 말씀입니다.”
정한조는 비밀리에 천봉삼을 비롯한 행중 식구 셋을 불러 또다시 수정암으로 급주를 띄웠다. 그곳에 있는 산적들이 숨겨둔 장물들을 회수하기 위함이었다. 일변 그런 사실이 있다는 것을 안동 부중에 있는 반수 권재만에게도 통지하였다. 그러나 그 장물의 처분을 두고 접소에서는 도회가 열릴 정도로 의견들이 분분하였다.
2013-08-0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