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의 눈으로 본 세계사】 타밈 안사리 지음/뿌리와 이파리 펴냄
무슬림들은 지금 왜 그렇게 행동하는가. 어쩌다가 세계는 전쟁과 테러의 악순환에 빠지게 됐나.아프가니스탄계 미국인 저널리스트인 저자는 이슬람의 눈으로 지난 1500년의 세계사를 그려냈고, 현대사를 해석했다. 냉전 종식을 프란시스 후쿠야마는 역사의 종말로 해석했지만 이슬람 급진 근본주의자들은 “대결해 온 두 제국주의 세력(소련식 사회주의와 미국식 자본주의) 가운데 하나를 해치웠고, 이제는 하나만 남게 됐다.”고 풀이했다. 저자는 2001년 9월 11일을 두 개의 세계사의 충돌로 규정하면서 ‘서구 민주주의의 승리, 역사의 종말’이란 주장은 틀렸다고 주장했다.
그는 무슬림사회가 한 줌의 부와 권력을 독점한 상류 계층과 그렇지 않은 다수로 갈라지고, 그 골이 갈수록 커지면서 급진 무장세력과 종교적 근본주의자들의 목소리와 영향력이 커졌다고 말했다. 국력과 경제가 발전하고, 교육이 확산되면 무슬림 사회의 소외 계층과 급진주의자들이 사라지고, 세속적인 선진 근대사회를 만들어 나갈 것이란 낙관도 더 이상 힘을 쓰지 못한다. 오히려 이슬람 세계의 세속 근대주의자들이 추락하기 시작했다. 팔레스타인에서 비종교적인 팔레스타인 해방기구는 하마스라는 종교적인 이념가들에게 자리를 내줬고, 종교 이데올로기에 뿌리를 둔 이슬람 지하드라는 과격단체가 세력을 키우고 있다. 시리아와 이라크에서는 무슬림 형제단이 바스당과 전쟁을 치르며 영향력을 넓혀나가고 있다.
그러나 저자는 이슬람 근본주의 무장세력도 이슬람 사회 안에 존재하는 수많은 가닥 가운데 하나일 뿐임을 지적하는 것을 잊지 않았다. “그들은 9·11 테러로 최전선에 나섰지만 이슬람 세계에는 다른 가닥들이 여태까지 그랬듯이 지금도 건재하다. 그 다양한 주제와 세력들은 이슬람이 무엇인지를 정의하는 사회적인 힘을 두고 수 세기 동안 경쟁해 왔다.” 저자는 한때는 그 다른 세력들이 이슬람 내에서 더 지배적인 시대가 있었음도 상기시켰다. 이제는 신기술의 영향을 받은 젊은 세대, ‘페이스북 세대’가 무대로 몰려오고 있음도 지적했다. 그들은 자신의 과거를 박탈당한 채로 현재에 도달한 것이 아니며 전통 위에서 현대를 모색하고 있다. 저자는 이슬람 세계는 발육이 부진한 서구식 세계사의 다른 판본도 아니며, 서구를 잉태한 문명이자 다만 발전 과정이 다른 문명이라면서 우리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만 8000원.
이석우 편집위원 jun88@seoul.co.kr
2011-08-2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