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한 여행 계획’을 짜겠다며 도화지를 준비해 오라는 선생님의 말에 연수는 고개를 갸우뚱한다. 뭔가 비밀이 숨어 있는 것 같다. 여행 갈 생각에 들떠 저마다 책상에 하얀 도화지를 펼쳐 놓고 선생님만 바라보는 아이들. 선생님은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1등을 발표하는 사회자처럼 괜히 뜸을 들이신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음… 우리가 이번에 할 여행은 말이지…. 꿈을 이루는 여행이야, 꿈 여행.”
실망한 아이들의 볼멘소리가 쏟아지지만 선생님은 아랑곳하지 않는다. 투덜대던 것도 잠시, 아이들의 머릿속엔 저마다 다채로운 미래가 펼쳐진다. 이윽고 선생님이 도화지를 주문하신 이유도 밝혀진다. 한 장의 도화지는 ‘나만의 생활 계획표’, 나머지 한 장은 ‘스스로 점수 주기’ 표로 꾸미라는 것.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할 일을 정하고 매일매일 그것을 지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이다.
연수의 머릿속에 훌쩍 자란 자신의 키를 보고 “키를 자라게 해주는 신비한 문, 성장판이 열렸기 때문”이라던 의사 선생님의 말씀이 스친다.
“선생님, 그러면 이건 꿈을 자라게 하는 성장판이에요?”
“우와! 연수 진짜 똑똑하구나. 성장판은 키를 크게 하고, 이건 꿈이 자라게 하는 거니까 꿈 성장판 맞네.”
키 성장판은 의식하지 않아도 누구에게나 열리는 문이지만, ‘꿈 성장판’은 스스로의 의지로 활짝 열 수도, 평생 고집스럽게 닫을 수도 있는 문이다. 하루하루 살뜰한 실천이, 오늘 못하면 내일 잘하면 된다는 긍정의 마음이 미래를 여는 열쇠임을 동화는 친근한 교실 속 풍경을 끌어와 일러준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4-02-08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