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의 노래’ ‘난중일기’ 세대 초월 스테디셀러 ‘진심진력’ 등 계발서 리더십 고민 2030 선택
요즘 서점가를 쥐락펴락하는 인물이 있다. 리더십 부재의 시대가 호출해낸 국민 영화 ‘명량’의 이순신이다. 교보문고 집계에 따르면 이순신 관련 책은 명량 개봉 전후인 최근 2주(지난달 28일~지난 10일)간 5390권이 팔려 지난해 동기(576권) 대비 9배 이상 팔려나갔다. 150여종이 넘는 책들이 각축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세대별로 어떤 책에 끌렸는지 들여다봤다.
역대 최단기간에 1000만 관객을 불러모은 영화 ‘명량’의 인기로 이순신 장군에 대한 대중적 관심이 날이 갈수록 뜨겁다. 11일 서울 교보문고 광화문점에 마련된 이순신 도서 코너에서 독자들이 책을 읽고 있다.

이미 스테디셀러인 소설가 김훈의 장편 ‘칼의 노래’는 모든 세대를 통틀어 선두를 꿰찼다. 외부세계와 불화하고 갈등한 이순신의 내면에 가장 가까이 다가갔다는 점이 인기의 이유로 풀이된다.
2001년 생각의나무에서 처음 출간된 ‘칼의 노래’는 2004년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탄핵 기간 중 마음을 다잡으며 읽은 책으로 알려지며 출간 6여년 만에 100만부 넘게 팔렸다. 당시가 ‘노무현 특수’였다면 이번엔 ‘명량 특수’인 셈이다. 개정판을 낸 문학동네에 따르면 하루에도 2000부씩 주문이 들어오는 등 영화 개봉 이후 지금까지 1만부 넘게 팔렸다.
출간된 지 10년이 훌쩍 넘었는데도 책이 여전히 이순신 책의 대명사로 읽히는 이유는 뭘까. 황종연 문학평론가는 “작가가 타고난 재능과 도덕성으로 만들어진 구국영웅이나 위인으로서가 아니라, 역사에서 공백으로 남아 있었던 정치사회적 외부 세계와 갈등하는 인간 이순신의 내면을 실감 나게 재현했기 때문에 현대인과 깊이 소통할 수 있었다”면서 “소설 속에서 이순신의 리더십이 개인을 수렁 속으로 집어넣는 혼란과 고통 속에서 실존적 고뇌를 통해 나온 것이라는 것도 현 시점에 공감을 샀다”고 짚었다.
‘난중일기’도 이순신 관련 서적 톱15 안에 4권이나 올라 있을 정도로 400여년의 시간을 관통해 공감대를 이어나가고 있다. 이 가운데 노승석 여해고전연구소장이 최근 북한 국어학자 홍기문이 1955년 한글로 번역한 난중일기 등을 반영해 펴낸 증보 교감완역본(여해)이 가장 상위권에 올라 있다.
조직 내 리더십과 처세를 고민하는 30대 남녀 독자들은 ‘그러나 이순신이 있었다’(일상이상)를 선택했다. 전국은행연합회 부장인 저자가 이순신의 인간적인 면모를 벗겨내 직장인들에게 전하는 메시지가 공감을 샀다는 분석이다. 책을 펴낸 출판사 일상이상의 김종필 대표는 “실제 직장인인 저자가 이순신이 ‘기적의 승리’를 일궈내기까지 실수도 하고 상관의 부당한 청에 맞서기도 하며 한계를 딛고 성장해 나가는 모습을 부각시켜 직장인들이 책을 많이 찾는 것 같다”며 “전쟁, 재난 등 위기 상황에서도 무능하고 책임 회피에 급급한 조선 지배층과 오늘날의 지배층을 겹쳐 보이며 비판한 것도 진보 성향이 강한 젊은 층이 찾는 이유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0대 남성들은 자기계발서로 분류된 ‘진심진력:삶의 전장에서 이순신을 만나다’(더퀘스트)에 손길을 뻗었다. 이순신이 남긴 말과 글, 읽은 책 등을 통해 삶에 대하는 이순신의 자세와 추구하는 가치, 리더십의 요체 등을 짚어보는 책이다. 박윤조 더퀘스트 인문교양팀장은 “평전, 역사서 등이 대부분인 다른 이순신 책과 달리 이순신의 생과 철학에서 요약된 세 가지 한자(進, 眞, 盡)를 주제로 자기 인식과 타인과 관계 맺는 법, 조직을 이끄는 법 등을 풀이해 이제 막 삶을 개척해 나가는 20대들의 흥미를 끈 것 같다”고 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4-08-12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