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역사의 나머지 반쪽… 18개 소수민족 이야기

中 역사의 나머지 반쪽… 18개 소수민족 이야기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7-05-12 22:22
수정 2017-05-12 23: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절반의 중국사/가오홍레이 지음/김선자 옮김/메디치미디어/1044쪽/4만 8000원
이미지 확대
명·청 교체기 무렵. 명 왕조를 굴복시킨 청 조정은 전격적으로 변발령을 내린다. “머리를 지키려면 머리카락을 깎아라, 머리카락을 지키려면 머리를 잘라야 할 것”이란 경고도 곁들였다. 당시 한족 입장에서 보면 이는 거의 생식기를 자르는 형벌과 맞먹는 치욕이었다. 일제강점기에 단발령의 치욕을 기억하는 우리로선 이해가 쉽다. 복장도 만주족의 복식을 따르라고 했다. 이후 한족의 복식마저 중국 땅에서 사라졌고 한족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전통 복식이 없는 민족이 됐다.

거대한 중국 대륙을 통치하고 있는 한족이 이런 과거를 갖고 있다는 사실은 그리 알려져 있지 않다. 대개의 중국사가 중원 왕조의 흥망성쇠만 기록하고 오늘날 중국이 형성되는 데 지대한 영향을 주고받았던 여러 소수민족에 대해서는 아주 조금씩만 언급했기 때문이다. 역사가 승자의 기록이라 보면 이는 당연한 결과처럼 보인다. 하지만 한족 중심의 역사만으로는 오늘의 중국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 새 책 ‘절반의 중국사’는 이를 반쪽의 중국사라 규정하고 나머지 반쪽을 소수민족의 역사로 채워 완벽한 하나를 만들겠다는 뜻이 담긴 책이다.

책엔 모두 18개 소수민족이 나온다. 말갈이나 거란 등 익숙한 이름도 있고, 월, 누란 등 생소한 이름도 있다. 이들의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소수민족의 기원뿐 아니라 중국이 어떻게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됐는지에 대한 그림까지 개략적이나마 그려진다.

사실 우리가 중국의 역사공정에 대해 들어는 봤어도, 학계를 제외한 중국 대중에게 실제 읽히는 역사 교양서들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한다. 책은 이런 간극을 메워주는 데 매우 유용하다. 다만 저자의 시각에도 함정은 있다. 역사 분야에서 중국은 자신의 지리적 영역 안에 존재했던 모든 왕조와 민족의 역사를 중국사로 포함시키려는 경향을 띠는데, 책 역시 이런 역사공정의 경향과 궤를 같이하고 있다.

옮긴이가 책 끝부분에 남긴 각주까지 꼼꼼하게 읽어야 할 이유가 바로 여기 있다. 저자의 역사 인식에서 오류가 발견되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다. 예컨대 당나라와 발해를 내지와 변방, 중앙과 지방 정부로 바라본다거나, 고구려의 멸망이 당과 신라의 연합 공격 때문이었는데도 신라를 쏙 빼고 ‘중앙정부’가 ‘지방정부’를 멸망시킨 것처럼 서술하는 식이다. 동해를 일본해라 표기하는 중국의 분위기도 읽을 수 있다. 옮긴이는 이런 오류들을 무려 150쪽에 걸쳐 꼼꼼하게 바로잡고 있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7-05-1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