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에도 ‘홍보 천재’ 있다

경기도의회에도 ‘홍보 천재’ 있다

명종원 기자
명종원 기자
입력 2024-03-18 03:47
수정 2024-03-18 03: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소원이’ 살려낸 이긍지 주무관

SNS 선풍… 전국 의회 1등 캐릭터
인형·그립톡·텀블러·달력 등 제작
이미지 확대
이긍지(왼쪽) 주무관·소원이(오른쪽)
이긍지(왼쪽) 주무관·소원이(오른쪽)
“귀여운 소원이가 오래오래 경기도의회를 빛내 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경기도의회 언론홍보담당관 홍보팀 이긍지(39) 주무관은 ‘홍보 천재’, ‘소원이 아빠’로 통한다. 이 주무관은 그다지 특색이 없던 도의회 소 캐릭터 소원이를 소셜미디어(SNS) 홍보 업무를 맡으면서 재탄생시켰기 때문이다. 큰 눈을 가진 소를 형상화한 소원이는 민생을 고루 살피고, 성실하게 맡은 바 임무를 해내는 듬직한 도의원을 의미한다.

이 주무관은 2017년 8월 임기제(8급) 공무원으로 도의회에서 공직을 시작하면서 소원이 살리기 프로젝트에 돌입했다. 이 주무관의 손길을 받은 소원이는 어느새 대중적인 외모를 갖게 됐고, ‘대한민국 SNS 대상(비영리부문)’을 6년 연속 수상할 만큼 전국에서 알아주는 캐릭터로 자리매김했다.

도의회 SNS도 다시 태어난(?) 소원이 덕분에 꾸준히 성장했다.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팔로워 수가 각각 5만 4000명, 2만 3000명을 기록하고 블로그 총조회수가 900만건에 이르렀다. 이는 국회를 포함한 전국 의회 가운데 가장 많은 수다.

도의회 사무처도 이제는 의회의 보물이 된 소원이 저작권 보호를 위해 힘쓰고 있다. 의원 간에도 소원이 등 의회 상징물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조례 제정 필요성에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소원이는 현재 인형, 그립톡, 볼펜, 물병, 텀블러, 달력 등 다양한 상품으로 제작돼 도의회를 찾은 도민들을 위한 기념품으로 활용돼 ‘의회 마스코트’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하반기에는 3D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돼 젊은층 ‘취향 저격’에 나설 계획이다.


김영옥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장, ‘여성발전센터 5개소 센터장과 간담회’ 개최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영옥 위원장(국민의힘, 광진3)은 지난 9일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실에서 서울시 5개 여성발전센터 센터장들과 만나 ‘다둥이 지원금’ 제도의 지난 3년간 성과를 돌아보고 향후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는 ‘서울시 여성관련시설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 개정(2023. 6. 28) 이후 시행 중인 다자녀 가정 지원사업의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지속 가능한 정책운영을 위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서울시 여성발전센터의 ‘다둥이 지원금’ 제도는 다자녀 가정의 교육비 부담을 완화하고, 경력 단절 여성의 직업역량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사업이다. 직업교육 및 생활문화교육 과정 이용료 면제를 통해 2023년 시범사업 이후 참여자 수가 2023년 992명에서 2025년 6월 기준 2987명으로 증가하는 등 긍정적 성과를 거두었으며, 특히 직업교육 과정에서 많은 시민의 호응을 얻고 있다. 김 위원장은 간담회에서 “다둥이 지원금 제도가 시민들의 실질적인 삶에 보탬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크다”라며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더 많은 시민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운영의 효율성을 한층 높여가야 한다”고
thumbnail - 김영옥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장, ‘여성발전센터 5개소 센터장과 간담회’ 개최

이 주무관은 17일 “수십년이 지나도 의원들의 의정활동을 조명하는 데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는 공공기관 캐릭터로 자리를 지켰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2024-03-18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