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선 광주시교육감
한강 노벨상 받자 스스로 책 읽어읽고 싶을 때 손 뻗으면 되게 할 것

이정선 광주시교육감이 서울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광주시교육청 제공
광주시교육청은 올해 최대 역점 사업으로 ‘다시 책으로’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아이들이 책을 가까이하고 글을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를 만들려고 이정선 광주시교육감이 야심 차게 기획한 사업이다. 우연인지 운명인지 올해 광주 출신 한강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덕분에 이 프로젝트는 전국적으로 관심거리가 됐다.
이 교육감은 13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다시 책으로’ 프로젝트는 우리 아이들의 독서 의욕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뭘까 고민하다 떠올린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처음 이 프로젝트를 한다고 할 때 주변에서 스마트폰에 익숙해진 아이들이 과연 책을 읽겠느냐며 우려했지만, 아이들이 다양한 실력을 쌓고 올바르게 성장하기 위한 길잡이로 책보다 나은 것은 없다는 생각에 밀어붙였다.
프로젝트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독서 분위기를 확산시키기 위해 우선 모든 학교를 대상으로 ‘1교 1독서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현재 광주의 초중고교에서 운영하는 독서 교육 프로그램이 1180여개에 이른다. 프로젝트가 안착한 것이다.
이 교육감은 “독서 교육이 시작되자 학부모들의 반응이 생각보다 아주 좋았다”며 “아이들이 휴대전화를 내려놓고 책을 들기 시작했다며 신바람이 난 학부모들의 모습을 보면서 뿌듯함을 느꼈다”고 말했다.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도 ‘다시 책으로’ 프로젝트에 힘을 보탰다. 이 교육감은 “광주 출신 한강 작가가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결정되자 전국에 ‘독서 열풍’이 불었으며, 아이들이 스스로 책에 관심을 갖고 읽기 시작했다”고 했다. 실제 지난달 광주 곳곳에서 열린 ‘서부 독서 페스티벌’에는 1000여명의 시민이 참여했다.
이 교육감은 내년에 독서 교육을 더 확대할 계획이다. ‘다시 책으로, 다 함께 책으로’ 프로젝트다. 올해 ‘글로벌 리더 세계 한 바퀴’ 사업의 하나였던 ‘책으로 세계로’ 유럽 문학 기행과 같은 프로그램을 더 세밀하게 손질해 운영하고 독서 교육 우수 학교 시상, ‘꿈을 실은 독서열차’ 운영 등 다양한 독서 교육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 교육감은 “많은 것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책은 열린 공간이다. 괴테의 책을 읽으며 독일의 문화를 느끼고, 역사 기행문을 읽으며 과거를 경험할 수 있다”면서 “아이들이 책을 읽고 싶을 때 손만 뻗으면 가능하게 학교와 일상에서 ‘늘, 독서’가 가능한 환경을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제2의 한강이 광주에서 다시 나오는 날을 기대하며 ‘다시 책으로’ 프로젝트에 열정을 쏟고 있다.
2024-12-14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