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유산 답사기
광나루, 옛 강이 현재로 흐른다.튼튼한 장우산을 동무 삼아 집을 나설 때만 해도 장대 같은 빗줄기가 걱정이었다. 출발 장소에 도착하자 신기하게도 비가 멎고 시원한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해설을 맡은 이기훈 지도사님의 정겨운 목소리를 따라 민주주의의 뿌리가 곧게 자라기를 희망했던 해공 신익희 선생의 동상을 마주한 뒤 강풀 만화거리로 들어갔다. 52편의 만화 주인공들이 좁은 골목 벽에 생동감 있게 그려져 만화의 한 장면 속을 거니는 듯했다.

김은선 서울도시문화연구원 서울미래유산연구팀

참가자들이 강동구 성내동 강풀만화거리를 걷고 있다. 만화 속 52개 장면을 벽화로 그렸다.
도시재생사업의 결과 도심 속에 넓게 자리한 천호(해공)공원을 거쳐 광진교로 접어들었다. 다리 앞에는 광나루를 사랑했던 조선의 문장가 서거정의 문장이 돛처럼 날리고 있었고 길 건너편에는 도미부인상이 다소곳이 서 있었다. 다리 중간에 이르니 올림픽대교 왼쪽으로 롯데월드타워, 오른쪽으로 강변테크노파크가 구름 속에 머리를 들고 있었다.
낮게 나는 잠자리 떼와 함께 광진교를 건넌 일행은 단종의 슬픔이 담긴 화양정 이야기를 들으며 강변북로 아랫길을 따라 걸었다. 광진정보도서관과 상부암 석불 입상을 지나쳐 일행이 도착한 곳은 1970년대 산업건축물의 원형을 보여 주는 구의취수장에 자리한 ‘서울거리예술창작센터’. 센터 야외마당에는 박스형 건물과 대형 조형물이 있었고 제1취수장에는 높이 20m에 매달려 있는 서커스 연습용 천들이 늘어져 있었다.
김은선 서울도시문화연구원 서울미래유산연구팀
2017-07-1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