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사업 수질무관 강조 위해” 환경부, 자료 통해 공개 파문

창원 연합뉴스
취수장 위협하는 낙동강 ‘녹즙’
무더위가 계속된 9일 낙동강 하류인 경남 창원시 본포교 본포취수장 앞에 녹색 물감을 풀어놓은 듯 거대한 녹조 띠가 퍼져 있다.
창원 연합뉴스
창원 연합뉴스
9일 환경부는 자료를 내고 “이명박 정부 때 4대강 보(洑) 인근에 녹조가 발생하자 공무원들이 동원돼 녹조를 치워 시각적으로 숨기거나 상수원으로 이용하지 않는 영산강에서도 댐 방류를 했다”고 밝혔다. 그 시각 윤성규 환경부 장관은 최근 논란을 부른 4대강 관련 발언을 해명하기 위해 브리핑을 열 준비를 하고 있었다. 때마침 나온 ‘공무원 동원’ 주장은 불붙은 4대강 논란에 기름을 붓는 꼴이 됐다. 환경부는 자료에서 “녹조를 사람의 손으로 걷어내는 것은 한계가 있는데 4대강 사업이 수질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무리를 했다”면서 “지방청 공무원들을 동원해 녹조를 인위적으로 걷어낸 사실 등은 환경부 내부에서만 알고 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4대강 사업 때 만든 보(洑)가 녹조 현상을 악화시켰다는 비판이 제기된 터라 이명박 정부가 4대강 사업의 폐해를 은폐하려 했다고 해석할 여지가 충분하다.
환경부가 이같이 주장하자 국가하천관리 주무 부처인 국토교통부가 발끈하고 나섰다. 국토부는 “녹조로 인해 국민 건강 등이 위협을 받으면 문제 해결을 위해 최대한의 조치를 취하는 것이 당연한 임무”라면서 “지방 환경청 등이 나서 녹조를 걷어낸 것이 4대강 사업의 폐해를 은폐하기 위한 조치는 아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영산강 댐 방류’에 대해서도 “영산강에는 방류를 할 수 있는 다목적댐 자체가 없다”며 “지난해에는 북한강 녹조 문제 해결을 위해 충주댐 1억t을 방류한 것이 전부”라고 말했다.
한편 윤 장관은 지난 6일 박근혜 대통령에게 4대강 보가 낙동강 녹조 확산의 원인 중 하나라고 보고한 것에 대해 이날 “지난 정부의 잘못을 드러내려는 것이 아니라, 4대강 사업의 문제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하고, 근본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취지”라고 해명했다. 간부회의에서도 윤 장관은 녹조 문제를 일부러 숨기기 위해 약품 투여 등 인위적 조치를 하기보다는 4대강 사업에 대한 조사·평가에서 문제점과 근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주관부처들이 4대강 사업을 추진할 때는 환경 문제에 대해 침묵하다가 뒤늦게 잘잘못을 따지는 모습을 보여 비난을 피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세종 유진상 기자 jsr@seoul.co.kr
세종 류찬희 기자 chani@seoul.co.kr
2013-08-10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