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즉각 부인 불구하고 파문 확산
청와대는 ‘정윤회 국정개입 문건’을 둘러싼 여러 의혹의 진상이 서서히 윤곽을 드러내기 시작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자살한 최모 경위의 유서가 15일 공개되는 등 파문이 종결 단계에 이르기까지 녹록지 않아 보이는 상황에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자살한 최 경위의 승용차 지키는 경찰
청와대 문건을 언론사 등에 유출한 의혹을 받던 최모 경위가 숨진 13일 경기 이천경찰서 주차장에서 최 경위의 승용차를 경찰이 지키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시신 감식 마친 과학수사대
최 경위가 스스로 목숨을 끊음에 따라 유출 의혹 규명이 새 국면을 맞게 된 가운데 경찰 과학수사대가 이천병원에서 최 경위의 시신 감식을 마치고 나오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그러나 정리되는가 싶었던 문서 유출 건이 서울경찰청 최 경위의 자살로 인해 다시 사실관계에 혼돈이 초래되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도 나온다. 최 경위의 형은 “동생이 전화통화에서 ‘검찰도 누가 지시하느냐. 결국은 모두 위(청와대)에서 지시하는 것 아니냐. 퍼즐 맞추기다’라는 말을 했었다”고 주장했다. 최 경위는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함께 수사를 받던 한모 경위를 회유했음을 암시하는 내용을 유서에 남기기도 했다. 청와대는 이를 즉각 부인했지만 이런저런 추가적 상황이 파문을 계속 부풀리고 있다. 이런 가운데 박 회장의 부인 서향희 변호사의 동향을 담은 문건도 유출됐다. 일부에서는 이번 파문을 보는 청와대의 인식이 민심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청와대는 연말까진 파문이 일단락되기를 고대하고 있다. 정권 3년 차 강력하게 추진해야 할 일이 적지 않은 상황에서 신년 벽두부터 충분한 동력을 확보하지 못하는 것은 피해야 하기 때문이다. 신년에 국민들에게 전할 국정 메시지가 영향을 받아선 안 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2014-12-15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