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혁신안, 패권주의 배제한 공정 시스템 확립”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7일 안철수 전 공동대표와의 회동 계획에 대해 “언제든지 만날 용의가 있고, 혁신위 활동기간이 남았기 때문에 추가로 바라는 방안이 있다면 얼마든지 반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문 대표는 이날 세종시에서 열린 새정치연합-세종시 예산정책협의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히고 “혁신위원회가 끝나도 혁신작업은 당 차원에서 계속되기 때문에 더 필요한 방안을 제시해준다면 더 제대로 혁신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날 혁신위가 발표한 공천제도 혁신안에 대해서는 “그동안 공천 과정에 당 지도부나 계파의 자의가 개입되는 것처럼 보이고 나아가 패권주의 또는 계파주의 공천이 이뤄진다는 비판이 많았던 것은 사실”이라며 “이번 안은 그야말로 당 지도부나 계파의 자의를 일체 배제한 투명하고 공정한 시스템 공천방안을 확립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혁신위에서 만든 구체적 안이 당무위와 중앙위를 통과하면 당헌·당규에 반영되면서 이젠 확실히 실천하게 된다. 아주 뜻깊은 일”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표는 “막말과 해당행위자, 분열과 불신 조장자는 스스로 거취를 결정해야 한다”는 김상곤 혁신위원장의 언급에 대해서는 “우리의 혁신이 제도혁신으로 끝날 수는 없다”며 “제대로 실천하고 더 나아가 당의 풍토와 문화까지 바꿔야 제대로 된 혁신이 될 텐데, 그런 취지를 예를 들어 말한 것으로 이해한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이 선당후사, 결초보은, 백의종군을 언급한 데 대해서는 “총선 승리를 위해 기득권을 내려놓고 헌신하는 노력은 아마 선거에 닥치면 당내에서 아주 많이 이뤄지리라 기대한다”며 “지금 단계에서 그런 이야기를 하는 건 이르다”고 말했다.
앞서 문 대표는 세종시와의 예산정책협의회 모두발언에서 “세종시는 국가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이라는 참여정부의 국정철학이 담긴 곳”이라며 “당초 계획대로 실질적인 행정수도가 되려면 아직도 할 일이 많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상반기 공무원들이 106억원에 달하는 출장비를 지출했다”며 “청와대 제2집무실과 국회 분원 설치 등 행정 비효율성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앞장서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미래창조과학부·해양수산부·국민안전처·인사혁신처 등의 미이전은 법률 위반인 만큼 이전을 촉구중이라고 설명하고, 중앙 부처의 세종청사 이전을 총괄하고 지방자치 및 분권을 주도하는 행정자치부의 조속한 이전을 위해서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