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 경축사…”한글에 더 큰 자부심 가져야””정부, 범국민 언어문화개선운동 지속적 전개”
황교안 국무총리는 9일 한글날을 맞아 “한글이 없으면 우리 겨레도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경축사하는 황교안 총리
제569회 한글날인 9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경축식에서 황교안 국무총리가 경축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연합뉴스
경축사하는 황교안 총리
제569회 한글날인 9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경축식에서 황교안 국무총리가 경축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황 총리는 이어 “우리가 나라를 빼앗겼을 때 우리의 말과 글도 모진 탄압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며 “일제 강점기부터 한글을 가꾸는 데 일생을 바치신 외솔 최현배 선생은 ‘한글이 목숨’이라고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황 총리는 “한글은 독창적이고 과학적인 문자로 누구나 배우기 쉽고, 쓰기에도 편하다”며 “우리가 정보기술 강국으로 발전하고 국민이 정보화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것도 한글이 그 토대가 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황 총리는 또 “뜻을 이해하기 어려운 말과 문자가 홍수를 이루고 비속어 사용도 빈번해지고 있다”며 “정부는 ‘범국민 언어문화개선운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품격 있는 언어 환경을 만드는 데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황 총리는 “정부는 지난해 개관한 한글박물관에 이어 세계문자박물관 건립을 추진하는 등 한글의 가치를 알리는 데 많은 힘을 쏟고 있다”며 “현재 세계 54개국 138개소에서 한글과 한국문화를 알리고 있는 세종학당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황 총리는 “우리의 말과 글은 문화융성의 시대를 열어가는 데 소중한 밑거름”이라며 “한글날이 우리 모두가 한글의 가치와 소중함을 되새기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황 총리는 경축식을 마친 뒤 한글 발전 공로로 훈·포장과 표창을 받은 유공자 10명과 간담회를 하고 이들을 격려했다.
황 총리는 이 자리에서 “한글을 새로운 콘텐츠와 상품으로 개발하고, 한글과 정보기술(IT),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와의 융복합을 촉진하는 등 한글의 산업화도 본격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