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연합뉴스
8일 부산 동구 일본총영사관 앞 소녀상에 시민들이 놓고 간 목도리, 모자, 초콜릿 등 각종 선물들이 쌓여 있다.
부산 연합뉴스
부산 연합뉴스
정세현 전 통일부장관은 10일 일본과의 ‘소녀상 갈등’과 관련해 “우리가 찍소리도 못하는 게 이면 합의가 있지 않나 하는 의심이 든다”는 의견을 밝혔다.
정 전 장관은 이날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원천적으로 이것은 영사문제에 관한 비엔나협약을 끌고 나와서 우리를 압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왜 이렇게 당하면서도 말도 못하는가. 이게 중요하다”며 이렇게 의심했다.
정 전 장관은 “법원이 (위안부 협상 문서를) 공개하라고 했으면 해야 한다. 못하는 걸 보면 이면합의가 있었기 때문이고 일본은 그걸 가지고 우리를 압박하는 거다. 문서상으로는 이 문제가 잘 해결되도록 단체들과 협의해 적절히 해결하겠다는 식으로 해뒀지만 그 밑에는 ‘우리가 책임지고 해결해 줄 테니까 걱정말라’하는 식의 얘기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그렇게라도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던 이유가 뭐가 있겠는가. 나는 미국에서 압력을 받았다고 생각한다”며 “재작년 봄부터 미국은 과거사 문제를 가지고 한일 간 불편한 관계를 끌고 가는 것이 미국 동아시아 정책에 결코 도움이 안 된다는 메시지를 계속 보냈다”고 설명했다.
정 전 장관은 “받아들이는 사람이 압력을 느끼고 거역할 수 없으면 그게 강박인데, 그러니까 (한일 위안부 합의는) 원천적으로 무효”라며 “따라서 재협상을 해야 하는데 이 정부는 못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 문제도 사드처럼 차기 정부에서 재협상을 하든 폐기하든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더구나 10억엔이라면 우리나라 돈으로 100억원인데 정유라 말 값도 안 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정 전 장관은 “아베 총리의 ‘정권이 바뀌어도 계속돼야 한다’는 얘기는 정권이 바뀌면 뒤집어지게 돼 있다는 걸 알고 있다는 얘기”라며 “외교부가 말도 못하는 게 어떤 점에서는 불쌍해 보인다”고 했다.
김서연 기자 w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