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표 국회의장이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의장실을 예방한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악수하고 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진표 국회의장이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의장실을 예방한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악수하고 있다.
김진표 국회의장이 29일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에게 “정치라는 것은 적어도 20만~30만 국민이 선출한 사람들의 회의체”라며 “내가 상대하는 한 사람 한 사람, 그분 뒤에는 20만명, 30만명의 국민이 있다는 것을 생각하고 그의 말을 경청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날 국회에서 한 위원장의 예방을 받은 김 의장은 공무원과 정치인의 차이를 설명하며 한 위원장에게 ‘선출직 국회의원’에 대한 예우와 소통을 주문했다. 한 위원장이 법무부 장관 시절 국회 출석 때마다 의회를 무시한다는 야당 의원들의 불만이 나왔던 만큼 김 의장이 이에 대해 조언한 셈이다.
김 의장은 “공무원이나 정치인이나 다 같이 나라와 국민을 위해 일해야 한다는 것은 똑같다”면서도 “그런데 방법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다. 정치라는 것은 적어도 20만~ 30만명의 국민이 선출한 사람들”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김 의장은 “내가 상대하는 한 사람 한 사람, 그분 뒤에는 20만명, 30만명의 눈동자가 있다”며 “이걸 염두에 두고서 그분만 대하는 게 아니라 그분 뒤에 있는 20만 30만의 국민 생각해 경청하고, 늘 상대방 입장에 서서 역지사지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했다. 또 “한 위원장은 용모도,머리도 스마트하시니 잘해 나가시라 믿는다”고도 격려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