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선희, 조국 비례대표 승계 완료
구심점 우려 속 내년 재보선 관건
조국 “음료 선결제… 작은 이별 선물”
檢, 형 집행 연기 허가… 16일 수감

대표 빠진 조국혁신당, 기자간담회
조국혁신당 김선민 당대표 권한대행이 13일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12.13 연합뉴스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가 의원직을 상실하면서 비례대표 국회의원 12명이 소속된 원내 3당인 조국혁신당은 당내 구심점을 잃게 됐다. 이에 야당으로서의 선명성 약화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앞으로 어떻게 존재감을 유지할지 주목된다.
조 전 대표가 의원직을 상실하며 비례대표 의원직은 후보자 추천 순위 13번인 백선희(56·여) 서울신학대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13일 승계했다. 이에 조국혁신당도 1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에 의원 12명 모두 참여가 가능해졌다.
백 의원은 이날 국회 본회의장에서 ‘의원 선서’를 하면서 “지금 정치의 사명은 탄핵”이라고 강조했다. 백 의원은 조국혁신당에서 복지국가 특별위원장을 맡아 온 복지 전문가다.
당 대표직은 최고위원 경선 최다 득표자인 김선민 수석 최고위원이 맡는다. 일각에선 검찰 개혁과 윤 대통령 탄핵 추진 등 국면에서 선명한 리더십을 발휘해 온 조 전 대표의 의원직 상실 이후 조국혁신당의 정치적 목표가 불분명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관건은 우선 내년 상반기 재·보궐선거까지 지도부가 조 전 대표 없는 조국혁신당을 어떻게 추스르고 활로를 찾느냐다. 내년 선거에서 의미 있는 득표율을 기록하지 못하면 2026년 지방선거에서도 큰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당의 영향력은 약해질 수밖에 없다. 지역구 의원이 하나도 없는 상황에 조 전 대표마저 없다면 다음 총선까지 당이 존재할지도 장담할 수 없다.
조국혁신당 관계자는 “지금은 위기이자 당이 더 굳건하게 건강해지기 위한 기회이기도 하다”며 “박은정, 신장식, 김선민, 김준형 등 전문가 집단인 개별 의원들이 개인 브랜드를 가지고 당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냐는 새로운 장이 열린 것”이라고 했다.
한편 조 전 대표는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글을 올려 “14일 여의도 집회에 오시는 당원과 시민들을 위해 음료 333잔을 선결제했다”며 “작은 이별 선물”이라고 전했다. 서울중앙지검은 이날 조 전 대표가 낸 출석 연기 요청을 검토한 뒤 이를 허가하기로 하고 16일 서울구치소로 출석하라고 통보했다.
2024-12-14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