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4일부터 모든 군사적 적대 행위를 전면 중단하자는 북한 국방위원회 명의의 ‘특별 제안’에 대해 1일 “얼토당토않은 주장이며 진실성이 결여된 제안”이라고 일축했다.
정부는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통해 “우리 국민은 물론 국제사회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이 한반도의 평화와 민족의 장래에 대한 근본적 위협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면서 “북측이 ‘특별 제안’에서 어떤 경우에도 핵·경제 병진노선을 포기하지 않겠다면서 평화적 분위기 조성 운운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밝혔다. 이어 “북측은 지난 1월 비방·중상 중단을 먼저 제안하고서도 남북 간 합의를 스스로 깨뜨리고 우리 국가원수에 대한 극렬한 비방 중상과 도발 위협을 계속했다”고 비판했다.
정부가 이처럼 강한 어조의 성명을 낸 것은 북한의 특별 제안이 1월 중대 제안과 내용상 큰 차이가 없고, 구체적인 대화 의지가 보이지 않는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북한의 최고 권력 기관인 국방위 명의의 제안에 대해 통일부 대변인 명의로 대응한 것은 우리 정부가 특별 제안의 격을 의도적으로 낮춘 것으로 해석된다. 정부 당국자는 “8월 훈련은 연례적이고 방어적인 훈련이기 때문에 북의 요구에 관계없이 예정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 국방위는 전날 특별 제안에서 7월 4일부터 모든 군사적 적대 행위를 전면 중지하고 을지프리덤가디언의 취소, 비방·중상 및 심리전 중지 등을 우리 측에 요구한 바 있다.
안석 기자 ccto@seoul.co.kr
정부는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통해 “우리 국민은 물론 국제사회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이 한반도의 평화와 민족의 장래에 대한 근본적 위협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면서 “북측이 ‘특별 제안’에서 어떤 경우에도 핵·경제 병진노선을 포기하지 않겠다면서 평화적 분위기 조성 운운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밝혔다. 이어 “북측은 지난 1월 비방·중상 중단을 먼저 제안하고서도 남북 간 합의를 스스로 깨뜨리고 우리 국가원수에 대한 극렬한 비방 중상과 도발 위협을 계속했다”고 비판했다.
정부가 이처럼 강한 어조의 성명을 낸 것은 북한의 특별 제안이 1월 중대 제안과 내용상 큰 차이가 없고, 구체적인 대화 의지가 보이지 않는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북한의 최고 권력 기관인 국방위 명의의 제안에 대해 통일부 대변인 명의로 대응한 것은 우리 정부가 특별 제안의 격을 의도적으로 낮춘 것으로 해석된다. 정부 당국자는 “8월 훈련은 연례적이고 방어적인 훈련이기 때문에 북의 요구에 관계없이 예정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 국방위는 전날 특별 제안에서 7월 4일부터 모든 군사적 적대 행위를 전면 중지하고 을지프리덤가디언의 취소, 비방·중상 및 심리전 중지 등을 우리 측에 요구한 바 있다.
안석 기자 ccto@seoul.co.kr
2014-07-02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