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지뢰도발 1년’ DMZ 공개… 무인감시 과학화 시스템 도입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북한의 비무장지대(DMZ) 목함지뢰 도발 1주년을 하루 앞둔 3일 육군 1사단 수색대원들이 경기 파주시 DMZ 통문을 통과하고 있다. 지난해 8월 4일 이 지역 DMZ에 설치된 목함지뢰 3발이 폭발해 작전 중이던 김정원·하재헌 하사가 크게 다쳤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이날 작전 현장에 투입된 육군 1사단 수색대대의 DMZ 수색 7팀은 지난해 북한의 목함지뢰 도발 당시 현장을 지휘했던 정교성(29) 중사의 인솔 아래 DMZ 남방한계선 아래 철책 부근에서 북한군과 맞닥뜨렸을 경우를 상정한 훈련을 실시했다.
수색팀장이 적 출현 상황을 가정해 “좌측에 적 발견!”이라고 외치자 팀원들이 일제히 복창하며 은폐물을 찾아 ‘엎드려 쏴’ 자세로 사격 태세를 갖췄다. 적을 발견한 수색팀원들이 총(공포탄)을 쏘기 시작했고 “수색조, 좌측 기동!”, “지휘조, 엄호사격!”이라는 수색팀장의 명령이 떨어지자 수색조가 우회기동으로 적에게 접근하고 지휘조는 엄호사격을 했다.이날 훈련을 실시한 수색 7팀은 지난해 북한의 지뢰 도발 당시 긴박한 상황에서도 작전 수행 절차에 따라 적절하게 상황을 조치해 김정원·하재헌 중사(진급 예정) 등 부상 전우의 생명을 살렸다.
육군 1사단은 지난해 8월 4일 북한의 목함지뢰 도발 이후 DMZ 인근에서 북한군 동향을 24시간 감시할 수 있는 무인감시 시스템인 과학화 경계시스템을 도입했다. 일반전초(GOP)와 비무장지대 내 초소(GP)에 잡목이 우거져 지형적으로 잘 식별되지 않는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한 것이다.
정 중사는 “지난해 8월 4일은 내 인생에서 영원히 잊을 수 없는 날”이라면서 “적이 또다시 도발한다면 도발한 것을 뼈저리게 후회하도록 처절하게 응징하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6-08-04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