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는 15일 서울 국립외교원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진출과 유엔에서의 한국의 역할’ 공개회의를 열었다. 회의에 참석한 전직 외교장관들은 안보리가 강대국 진영 대결로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가운데 내년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에 재진입하는 한국의 능동적 역할을 강조했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안보리가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건 방향성을 잃었기 때문”이라며 “북한의 핵 개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같은 명백하고도 중대한 국제평화와 안보 침해 사안에 대해서도 아무런 공식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 전 총장은 또 “한국이 비상임이사국으로 있을 때 안보리에서 AI(인공지능) 문제를 심각하게 토의했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송민순 전 장관은 “국제질서를 지켜야 할 안보리 상임이사국들이 그 질서를 망가뜨리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런 상황에서는 상임이사국보다 비상임이사국들의 균형 있는 정책이 국제질서를 만들어 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송 전 장관은 이어 “한국이 상임이사국들의 일탈을 막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며 “그것이 한국이 글로벌 중추국가로 가는 큰 길이 되지 않겠느냐”고 강조했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안보리가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건 방향성을 잃었기 때문”이라며 “북한의 핵 개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같은 명백하고도 중대한 국제평화와 안보 침해 사안에 대해서도 아무런 공식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 전 총장은 또 “한국이 비상임이사국으로 있을 때 안보리에서 AI(인공지능) 문제를 심각하게 토의했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송민순 전 장관은 “국제질서를 지켜야 할 안보리 상임이사국들이 그 질서를 망가뜨리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런 상황에서는 상임이사국보다 비상임이사국들의 균형 있는 정책이 국제질서를 만들어 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송 전 장관은 이어 “한국이 상임이사국들의 일탈을 막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며 “그것이 한국이 글로벌 중추국가로 가는 큰 길이 되지 않겠느냐”고 강조했다.
2023-06-16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