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가 지난 10일 대통령 취임식이 끝나자마자 모교인 숙명여고를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16일 중앙일보에 따르면 김 여사는 10일 취임식이 끝난 후 서울 도곡동에 위치한 숙명여고를 찾아갔다. 김 여사는 1970년 숙명여중에 입학해 73년 숙명여고(62기)에 진학한 이른바 ‘6년 숙명인’이다. 이날은 한 달에 한 번 열리는 동문 기대표들이 만나는 날이었고, 김 여사는 62기 기 대표로서 이 자리에 참석했다.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10일 낮 국회 본청 로텐더홀에서 열린 취임선서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입장하고 있다. 2017. 05. 10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10일 낮 국회 본청 로텐더홀에서 열린 취임선서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입장하고 있다. 2017. 05. 10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취임식 옷차림으로 회의장에 들어선 김 여사를 동문들은 박수로 맞았다. 동문들은 “그 옛날에 왕비가 세운 우리 학교에서 111년 만에 첫 영부인이 나왔다”고 했다.
숙명여고는 1906년 5월 22일 고종의 계비 순헌황귀비가 세운 여성 사학이다.
김 여사의 은사인 명신여학원 이정자 이사장은 김 여사의 손을 잡곤 “내가 학교를 이렇게 오랫동안 지키고 있었던 것이 오늘을 보려고 그랬던 것 같다”며 눈물을 흘렸다. 동문들은 “이 세상에서 제일 강하고 카리스마 있는 우리 선생님이 눈물 흘리신 걸 오늘 처음 봤다”고 했다.
김 여사는 “제가 여성으로서 어떤 태도를 가지고 살아야 하는지 이곳에서 6년 동안 선생님들이 가르쳐 주셨다. 정말 감사하다”며 허리 굽혀 인사했다. 김 여사의 2년 손위 언니 김명숙(작고)도 숙명여고 출신이다.
대선 기간 중에도 김 여사는 숙명여고 동문들의 도움을 많이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문 대통령의 취약 지역으로 꼽히던 서울 강남 등지에서 동문들이 기수별로 삼삼오오 모임을 갖고 물밑 지원을 벌였다고 한다.
김대중 정부 때 총리에 지명됐던 장상 전 총리서리와 김 여사의 중·고교 친구인 손혜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모두 숙명여고 출신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