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물메기처럼 생긴 쏠종개에 쏘이지 않도록 주의하세요.”국립 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는 22일 “최근 부산 연안과 남해안에서 쏠종개에 쏘이는 사례가 잇따라고 있다.”라며 주의를 당부했다.
실제 14일 부산 감천항에서 낚시를 하던 남성이 쏠종개에 손을 쏘여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고 연구소는 밝혔다.
이미지 확대
국립 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는 22일 “최근 부산 연안과 남해안에서 쏠종개에 쏘이는 사례가 잇따라고 있다.”라며 주의를 당부했다. 쏠종개의 등지느러미와 양 가슴지느러미에는 1개씩의 가시가 있는데 이 가시에 쏘이면 독액이 분비돼 심한 통증을 유발한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국립 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는 22일 “최근 부산 연안과 남해안에서 쏠종개에 쏘이는 사례가 잇따라고 있다.”라며 주의를 당부했다. 쏠종개의 등지느러미와 양 가슴지느러미에는 1개씩의 가시가 있는데 이 가시에 쏘이면 독액이 분비돼 심한 통증을 유발한다. 연합뉴스
쏠종개의 등지느러미와 양 가슴지느러미에는 1개씩의 가시가 있는데 이 가시에 쏘이면 독액이 분비돼 심한 통증을 유발한다.
쏘인 부위가 빨갛게 부어 오르고,감각이상 증상이 나타나며 온몸에서 땀과 열이 나기도 한다.통증은 보통 1∼2시간이 지나면 약해지지만 1∼2일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고 연구소 측은 설명했다.
남동해수산연구소 측은 “쏠종개에 쏘여 상처가 깊으면 반드시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라며 “가볍게 쏘인 경우에는 따끈한 물에 쏘인 부위를 1시간 정도 담그고 있으면 통증이 완화된다.”라고 말했다.
쏠종개는 제주도 연안에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최근 부산 연안을 비롯한 남해안에서도 자주 발견되고 있다.연구소는 이런 현상이 기후변화와 관련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쏠종개는 연안 얕은 곳 암초 사이나 바위 밑 해조류가 있는 곳에 살며 낮에는 떼를 지어 서식한다.몸은 가늘고 길며,머리는 납작하며 입에는 4쌍의 수염이 있다.몸 색깔은 흑갈색 바탕에 머리의 아래쪽과 배 부분은 연한 황색이다.보통 때 독가시를 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 속에 숨기고 있어 맨눈으로 관찰하기 어렵다.
부산=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