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침’ 미스터리

‘7㎝ 침’ 미스터리

입력 2011-04-30 00:00
수정 2011-04-30 00: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노태우 前대통령 한방침 제거 수술 공개 한의계 “튜브에 강제 삽입 않는한 불가능”

노태우 전 대통령의 폐에서 발견된 침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서울대병원 측도 침이 폐에 박힌 경위에 대해 “알 수 없다.”고 말했다. 당초 한방용 침일 리 없다는 입장을 밝혔던 한의학계 역시 한방용 침(鍼)으로 확인되자 당혹스러워하면서도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미지 확대
노태우 전 대통령의 폐에서 빼낸 7㎝ 길이의 한방용 침.
노태우 전 대통령의 폐에서 빼낸 7㎝ 길이의 한방용 침.
서울대병원은 29일 기자회견을 통해 노 전 대통령의 수술 경과를 공개했다. 침 제거 수술을 집도한 성명훈 이비인후과 과장은 “X선 촬영 결과 아래쪽이 두껍고 위쪽이 가는 금속성 물질이 확인됐고, 침을 맞은 적이 있다는 가족들의 말로 미뤄 침술 기구가 들어간 것으로 생각했다.”고 말했다.

폐에서 제거해 낸 이물질은 한방 치료에 쓰이는 7㎝가량의 침이었으며, 손잡이 부분이 아래로 향한 채 오른쪽 주기관지를 관통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성 과장은 침이 기관지를 관통한 경위에 대해 “알 수 없다.”면서 “노 전 대통령의 식도에 장착된 튜브는 90도 각도로 꺾여 있어 튜브를 타고 침이 들어갔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서울대병원 관계자는 “침이 폐에 들어가게 된 경위에 대해 가족들로부터 어떤 설명도 듣지 못했다.”면서도 “노 전 대통령이 한방 치료를 받은 적이 있다는 사실로 미뤄 이 치료와의 연관성을 추정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고 말했다.

한의학계는 서울대병원 측의 발표에 당혹스러워하면서 “침이 기관지를 관통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한한의사협회 관계자는 “기관지 주변 혈자리에 침을 놓다가 실수로 떨어뜨린 침이 튜브로 들어갔을 수는 있다.”면서도 “길이가 7㎝이고, 자루가 아래로 향해 있었다면 침을 일부러 튜브에 쑤셔넣지 않는 한 저절로 들어가기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상곤 갑상한의원장은 “그 정도 침의 시술은 복부 중완이나 쇄골 사이의 천돌혈에만 놓는데, 이런 시침은 위험하다.”면서 “숙련된 한의사가 아니면 이 부분에 시술을 거의 하지 않으며, 전직 대통령이라면 더더욱 그랬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소라기자 sora@seoul.co.kr
2011-04-3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