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선신고서 의무작성 국제 통용…선사, 미제출땐 탑승 거부도 가능
진도 여객선 침몰 사고가 발생 3일째를 맞았으나 정부가 여객선 ‘세월호’에 승선한 인원 476명의 명단을 여전히 공개하지 않고 있다.
진도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제발, 살아서…
세월호 침몰 사흘째인 18일 실종자 가족 중 한 명이 전남 진도군 팽목항에서 비옷을 입고 두 손을 모은 채 실종자의 생환을 비는 기도를 하며 오열하고 있다.
진도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진도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정부가 앞서 사고 발생 첫날부터 탑승자 및 구조자 수를 놓고 오락가락하더니 실종자 수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는 등 미숙한 상황 대응 능력을 드러낸 적이 있기 때문에 미공개 이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관계자는 18일 “선사인 청해진해운과 해양경찰청에서 여객선 탑승자 명단을 정리하는 중인데 아직 공개할 정도로 완성되지 않은 것 같다”고 밝혔다.
현행 해운법에는 여객선에 승선하는 사람들이 출항 전에 표를 끊으면서 승선 신고서를 작성해 선사에 제출하도록 돼 있다. 승선 신고서에는 승선자의 성명, 성별, 생년월일 및 연락처를 적는다. 단체로 여객선에 승선할 경우에도 발권 전에 각 승선자의 인적 사항을 적어야 한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육상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고 피해자를 찾는 일이 용이하지만 해상에서 선박 사고가 발생하면 사고 피해자가 바다에 유실돼 구조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여객선 탑승 전에 승선 신고서를 의무적으로 작성하는 일은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따라서 승선자 명단을 뒤늦게 정리하고 있다는 중대본의 설명이 사실이라면 청해진해운은 승선자 명단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책임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선사 측이 해양경찰에 일단 제출한 탑승자 명단은 안산 단원고 학생 325명, 교사 14명, 인솔자 1명, 일반인 73명, 화물기사 33명, 승무원 24명, 기타 승무원 5명 등 총 475명이다.
한편 중대본은 일부 실종자 가족들의 요청을 받아들여 실종자 명단을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사망자의 실명도 ‘홍○○’라는 식으로 성만 공개하기로 했다. 아울러 사망자의 신속한 신원 확인을 위해 실종자 가족들의 동의를 받아 DNA 샘플을 채취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날까지 사망자 12명의 신원을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14-04-19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