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고지대에 정상에 피는 대표적인 꽃 중의 하나인 산철쭉이 올해는 평년보다 꽃 수도 많고 화려한 꽃을 피울 전망이다.
화사하게 피어난 한라산 산철쭉 지난 30일 한라산 방애오름 지역에서 화사하게 피어난 산철쭉 모습. 올해 한라산 산철쭉은 다른 해에 비해 20∼30% 많이 핀 것으로 조사됐다.
연합뉴스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는 해발 1천700m인 한라산 남사면 방애오름 지역의 산철쭉 개화 상황을 조사한 결과 단위면적(50×50㎝)당 꽃 수가 약 250개로 파악됐다.
이는 최근 몇 년 동안의 단위면적당 꽃 수보다 20∼30% 많은 것이다.
화사하게 피어난 한라산 산철쭉 지난 30일 한라산 방애오름 지역에서 화사하게 피어난 산철쭉 모습. 올해 한라산 산철쭉은 다른 해에 비해 20∼30% 많이 핀 것으로 조사됐다.
연합뉴스
올해 많은 꽃이 핀 것은 꽃눈이 만들어지는 시기인 지난해 여름(6∼7월)에 강수량이 매우 적고 기온이 높게 유지되면서 일조량이 많아 꽃눈 분화가 잘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이 지역의 6∼7월 강수량은 2011년 2천296㎜, 2012년 1천116.5㎜였지만 지난해에는 454.5㎜에 불과했다.
6월의 최저 기온과 최고 기온도 지난해는 2011∼2012년에 비해 높았다.
최형순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박사는 “올해 한라산 산철쭉 꽃은 이번 주에 절정을 이룰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산철쭉의 개화 시기와 규모를 파악해 한라산 고지대의 기후조건과의 연관성을 상세하게 분석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화사하게 피어난 한라산 산철쭉
지난 30일 한라산 방애오름 지역에서 화사하게 피어난 산철쭉 모습. 올해 한라산 산철쭉은 다른 해에 비해 20∼30% 많이 핀 것으로 조사됐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는 해발 1천700m인 한라산 남사면 방애오름 지역의 산철쭉 개화 상황을 조사한 결과 단위면적(50×50㎝)당 꽃 수가 약 250개로 파악됐다.
이는 최근 몇 년 동안의 단위면적당 꽃 수보다 20∼30% 많은 것이다.

연합뉴스
화사하게 피어난 한라산 산철쭉
지난 30일 한라산 방애오름 지역에서 화사하게 피어난 산철쭉 모습. 올해 한라산 산철쭉은 다른 해에 비해 20∼30% 많이 핀 것으로 조사됐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올해 많은 꽃이 핀 것은 꽃눈이 만들어지는 시기인 지난해 여름(6∼7월)에 강수량이 매우 적고 기온이 높게 유지되면서 일조량이 많아 꽃눈 분화가 잘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이 지역의 6∼7월 강수량은 2011년 2천296㎜, 2012년 1천116.5㎜였지만 지난해에는 454.5㎜에 불과했다.
6월의 최저 기온과 최고 기온도 지난해는 2011∼2012년에 비해 높았다.
최형순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박사는 “올해 한라산 산철쭉 꽃은 이번 주에 절정을 이룰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산철쭉의 개화 시기와 규모를 파악해 한라산 고지대의 기후조건과의 연관성을 상세하게 분석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