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1억 넘게 받고도’…지방세 체납 2천865명 적발

‘월급 1억 넘게 받고도’…지방세 체납 2천865명 적발

입력 2014-08-07 00:00
수정 2014-08-07 15: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기도 “변호사·의사·고위공무원·대기업 간부 등 95억 체납”당장 급여 압류…300만원 이하는 한달 납부유예 뒤 압류 방침

한 달에 500만원에서 1억2천만원까지 고액 급여를 받으면서도 지방세를 체납해 온 의사, 변호사, 대기업 임원, 공무원 등이 무더기로 경기도 광역체납기동팀에 적발됐다.

경기도는 지난 1개월 간 월급여 500만원 이상을 받으면서도 지방세를 내지 않은 체납자 2천865명(체납액 95억1천200만원)을 적발했다고 7일 밝혔다.

광역체납기동팀은 도내 30만원 이상 체납자 3만1천281명의 직업정보를 조사, 7개 사회지도층급을 대상으로 정해 체납조사를 했다.

체납자 직업별로는 대기업 546명(체납액 10억3천만원), 공무원 324명(4억6천300만원), 교육·언론·공공기관 274명(5억3천600만원), 의료계 167명(11억2천700만원), 금융계 126명(2억400만원), 법조계 38명(6천100만원), 기타 1천390명(60억8천800만원)이다.

적발된 체납자 중에는 유명 법무법인, 회계법인, 대기업, 증권사, 은행, 중앙 부처, 공중파 방송사, 교육청 종사자가 다수 포함됐다.

법조계 체납자 중에는 변호사가 다수를 차지했으며 공무원 신분의 판사와 검사는 없었다.

공무원 중에는 고용노동부, 외교부, 법무부, 국방부 등 중앙 부처 공무원이 골고루 포함돼 있다고 경기도는 전했다.

체납조사 주체인 경기도청에도 공무원 4명이 100만원가량 지방세를 체납했고, 서울시 구청 공무원들도 일부 포함됐다.

기타 고액 연봉자는 주로 중소기업 임원들이 차지했다.

특히 월 710만원의 급여를 받는 한 중소기업 임원은 5억8천만원의 지방세를 체납해 최다를 기록했다.

이들이 체납한 지방세는 대부분 재산세와 취득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D병원 병원장으로 알려진 전모씨는 월 1억2천600만원의 급여를 받으면서도 지방세 900만원을 내지 않았고, 월급 4천500만원을 받는 국내 유명 K법률사무소의 신모 변호사는 100만원의 지방세를 체납했다.

또 S전자에서 월급 5천800만원을 받는 정모씨는 67만5천원을, D증권에서 월급 3천800만원을 받는 권모씨는 3천800만원을, S대학교에서 월급 950만원을 받는 김모씨는 136만원의 지방세를 각각 내지 않다가 적발됐다.

경기도는 체납자 가운데 300만원 이하는 한 달 간 납부유예기간을 두고 그 이상 체납자는 곧바로 급여를 압류하라고 도내 31개 시·군에 지시했다.

광역체납기동팀 관계자는 “월 급여 1천만원 이상인데도 세금을 내지 않는 사람이 많았고 이들에게 수차례 납부독려를 했음에도 돈이 없다며 거절했다”면서 “납세가 국민이 가진 기본적인 양심이라는 것을 알리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구미경 서울시의원, 성동구 4개 동 주민총회 참석해 주민 자치활동 응원

서울시의회 구미경 의원(국민의힘, 성동 제2선거구)은 지난 6월 23일 왕십리도선동을 시작으로, 6월 25일 행당1동, 7월 8일 왕십리제2동, 7월 9일 행당2동에서 열린 2025년 성동구 주민총회에 참석해 지역 주민들과 소통하며 자치 활동의 의미를 함께했다. 주민총회는 각 동의 주민자치회가 주도해서 한 해 동안의 활동을 보고하고, 주민 제안 사업에 대해 주민들이 직접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자리로, 생활자치를 실현하는 대표적인 참여 플랫폼이다. 이번 주민총회에서는 자치계획 보고, 분과별 활동 공유, 마을의제 설명 등 다양한 순서가 진행되었으며, 생활안전, 복지, 환경 등 주민 실생활과 밀접한 주제들이 활발히 논의됐다. 구 의원은 각 총회에 참석해 주민들과 인사를 나누며 “주민들이 직접 마을의 일에 참여하고 방향을 정하는 모습이 참 인상 깊었다”면서 “이런 소중한 참여와 열정이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시의회에서도 힘을 보태겠다”고 전했다. 한편, 구 의원은 매년 성동구 주민총회에 빠짐없이 참석해 현장의 목소리를 꾸준히 청취하고 있으며, 주민 제안이 실질적인 정책과 예산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thumbnail - 구미경 서울시의원, 성동구 4개 동 주민총회 참석해 주민 자치활동 응원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