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원고 실종자 허다윤양 부모 인터뷰
“인양 발표로 달라질 건 없어요. 배가 뭍으로 올라와 우리 다윤이를 만나야만 비로소 끝인 거죠.”
단원고 실종자 허다윤양의 어머니 박은미(왼쪽)씨와 아버지 허흥환씨.
22일 오전 청와대 분수대 앞. 중국 관광객들로 북적이며 봄볕이 내리쬐는 평화로운 풍경 속에 노란 피켓을 든 중년 부부가 눈에 들어왔다. 지난해 세월호를 타고 수학여행길에 올랐다가 아직 돌아오지 못한 단원고 허다윤(당시 17세)양의 어머니 박은미(45)씨와 아버지 허흥환(51)씨다. 부부가 든 피켓에는 ‘세월호 속에 있는 9명의 실종자를 꺼내 주세요’라는 글귀와 함께 다윤양의 사진이 붙어 있었다.
정부가 세월호 선체 인양계획을 공식 발표했다는 소식에도 부부는 별다른 표정 변화가 없었다.
“기술적인 부분은 잘 몰라요. 참사가 일어났을 때부터 인양 얘기가 나왔는데 준비가 한참 전에 끝났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이르면 9월부터 시작이라고요? 왜 당장 시작하지 않는지….” 박씨가 고개를 떨궜다. “실종자 가족들은 그런 걸로 일희일비하지 않은 지 오래됐어요.” 허씨가 거들었다.
지난해 11월 정부가 수색 종료를 발표했을 때 부부는 눈물로 전남 진도의 팽목항을 떠났다. “정부가 ‘인양도 수색의 한 방법’이라고 했어요. 이미 수색을 종료하려고 준비를 다 해 놓고 가족들을 밀어붙이더라고요. 그 말만 믿고 물러섰는데 지금껏 된 게 아무것도 없어요.”
지난 2월 26일부터 부부는 매일 청와대 앞으로 출근한다. 마지막 한 명까지 찾아 주겠다던 박근혜 대통령의 약속을 상기시키기 위해서다. 피켓을 들고 있는 부부에게 한 관광객이 다가와 “천안함 (희생자 가족)이냐”고 물었다. 박씨는 “아직도 ‘세월호 참사 이후’를 모르는 분이 많다. 우리에게 ‘시신을 다 찾지 않았느냐. 왜 아직도 이러고 있느냐’고 하는 분도 있더라”며 쓴웃음을 지었다.
줄곧 청와대를 지키느라 광화문광장과 서울광장은 가 보지 못했다. 최근 세월호 1주년 추모집회에서 유가족 등 시위대에게 경찰이 물대포를 쏘고 캡사이신 최루액을 뿌렸다는 소식에 부부는 깜짝 놀랐다고 했다. “어떻게 자식 잃고 부모 잃고 형제 잃은 사람들한테 그럴 수 있을까요?”
인터뷰 내내 박씨는 “네?”라는 물음을 되풀이했다. 난치병인 신경섬유종을 앓는 박씨는 두 귀에 있는 종양 탓에 청력이 좋지 않다. 평형감각도 나빠 자주 주저앉는다. 그래도 이곳을 떠날 수 없다고 했다. 세상 누구보다 사랑했던 딸이 돌아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글 사진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5-04-23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