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신문 9년 새 286→5950개 언론중재위 조정신청 3년 새 12배↑

인터넷신문 9년 새 286→5950개 언론중재위 조정신청 3년 새 12배↑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15-09-14 23:32
수정 2015-09-15 03: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포털 제휴사 빌미로 갑질 “포털이 사이비 언론 놀이터”

‘기사’를 무기 삼아 기업들을 등치는 사이비 언론이 인터넷에 독버섯처럼 번지고 있다. 대형 포털은 이들이 ‘유사언론행위’를 마음껏 할 수 있는 ‘놀이터’가 됐다. 언론사 기자들은 ‘기레기’(기자 쓰레기)로 불리며 품격이 땅에 떨어졌다. 언론 환경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4일 박대출 새누리당 의원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인터넷신문(뉴스서비스 포함) 등록 현황에 따르면 2005년 286개(3.8%)에서 2014년 5950개(33.8%)로 9년 만에 약 20배 늘어났다. 최근 5년간 언론중재위원회에 접수된 인터넷 신문에 대한 조정 신청 건수도 2011년 707건에서 2014년 8436건으로 3년 사이 12배 폭증했다.

사이비 언론의 횡포는 포털 제휴사라는 점을 빌미로 ‘갑질’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A사는 광고비 증액 요구가 거절당하자, 고객의 항의성 민원을 일방적으로 반영한 기사를 포털에 4회 반복 게재했다.

스포츠지인 B사는 포털에서 종합지로 분류되게 한 뒤 기업의 경영진에 대한 악의적 기사를 제목만 바꿔 6일 동안 내보냈다.

업계 관계자는 “포털 제휴 언론사로 지정되면 기업 임원과 홍보담당자들에게 ‘이제 대우를 달리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내용의 협박성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게 관행처럼 됐다”고 말했다.

또 다음 제휴사인 C사가 악의적인 기사를 올리면 네이버 제휴사인 D사는 기사를 토씨 하나 바꾸지 않고 그대로 받아 재생산했다.

기업 총수와 관련된 이미 해결된 사건을 마치 새로운 사건인 양 재탕해 피해를 주는 일도 적지 않았다. 포털 제휴사가 되지 못한 언론들은 모(母)회사의 이름을 빌려 포털에 노출하는 수법을 사용했다.

왜곡 보도도 인터넷에 봇물을 이룬다. 기업의 공장에 폭발사고가 났다는 내용의 사건 기사에 그 회사 최고경영자(CEO)의 사진을 대문짝만하게 실어 창피를 주는가 하면, 기사 내용과 무관한 ‘낚시성’ 선정적 제목으로 기업을 골탕 먹이는 사례도 비일비재했다. 이런 사이비 언론들은 광고·협찬을 얻어내면 기사를 수정하거나 삭제했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2015-09-15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