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 지켜준다더니” 스크린도어 역설…잇단 사건·사고

“생명 지켜준다더니” 스크린도어 역설…잇단 사건·사고

입력 2016-06-02 09:05
수정 2016-06-02 09: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스크린도어에 끼여 숨지는 사고에 고장·장애도 월 1천여건

지하철역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설치된 스크린도어가 오히려 시민 생명에 위협이 되는 역설적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서울 지하철 스크린도어 설치 논의는 이명박 전 시장 시절인 2003년에 본격 시작됐다.

당시 40대 여성이 노숙자에게 떠밀려 열차에 치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며 승강장 안전시설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지하철 추락 사고가 연 평균 40여건에 달하고, 사망자도 20여명 발생했다.

만취 승객이 발을 헛디딘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극단적인 선택을 감행하는 장소로 지하철 승강장을 택한 경우도 많았다.

서울시는 일부 주요 역사에 민자유치 방식으로 스크린도어를 설치하기 시작했다.

스크린도어를 설치하고 최장 22년간 광고로 수익을 올리는 사업 모델로, 정비 업무도 해당 업체에서 맡는다.

당시 사업을 맡은 유진메트로와 계약은 아직 계속되고 있다.

스크린도어 설치 효과가 좋다고 판단한 서울시는 오세훈 전 시장 재임 중인 2006년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한다고 밝혔다.

이번에는 민자유치 방식이 아니라 시 예산이 투입됐다.

서울시는 당초 2010년까지 완공할 계획이었지만 일정을 1년 당겨 마무리했다. 서울시는 스크린도어 설치가 대기질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스크린도어 설치로 승객이 선로로 발을 헛디뎌 떨어지거나 달리는 지하철을 향해 몸을 던지기 어려운 구조가 됐다.

서울시는 스크린도어 설치로 자살시도 건수가 2009년 77건에서 2010년 29건으로 크게 줄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곧 스크린도어 관련 사망 사고가 발생하는 등 문제가 불거지기 시작했다.

올해 2월 지하철 1호선 서울역에서 80대 할머니가 승강장 스크린도어 벽과 열차 사이에 끼여 숨졌다. 열차 문에 낀 가방을 빼내려다 변을 당했다. 지하철 문과 스크린도어 사이에 이 할머니가 끼여 스크린도어가 다시 열렸지만, 차장과 기관사는 상황을 살피지 않고 열차를 출발시켰다.

비슷한 사고는 2014년 9월에도 있었다.

4호선 총신대입구역에서 80대 할머니가 열차를 타려고 지팡이를 문틈에 집어넣었다가 스크린도어와 열차 사이에 끼인 채 끌려가 숨졌다.

스크린도어 고장과 장애를 정비하는 직원이 열차에 치여 숨지는 황당한 사고도 무려 세 차례나 발생했다.

지난달 28일 구의역에서 스크린도어를 정비하던 용역업체 직원이 사고를 당해 사망하는 등 최근 4년새 3명이 작업 중에 사고로 숨졌다.

지난해 강남역에서 사고가 난 지 1년도 채 되지 않아 똑같은 일이 되풀이됐다.

스크린도어는 고장도 너무 잦다. 2013년부터 약 3년간 1∼9호선 스크린도어에서 매달 1천여건 고장이나 장애가 발생했다.

고장 건수는 8천227건이었다. 2호선이 3천53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3호선 2천519건, 4호선 1천524건 등이었다.

이 기간 스크린도어 고장이 가장 잦았던 역은 2호선 성수역으로 3년간 196건의 고장이 발생했다. 이어 2호선 방배역에서 173건, 2호선 잠실나루역에서 165건 고장이 발생하는 등 28개 역에서만 100차례 이상 발생했다.

같은 기간 장애건수는 3만 1천765건에 달했다.

임수경 전 의원은 당시 “현행법상 단순 건축기계구조물로 분류돼 다른 안전시설물에 비해 안전기준이 상대적으로 미흡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스크린도어 설치와 관련한 비리 의혹도 무성했다.

서울메트로에서는 스크린도어 설치 비용을 높게 책정해 예산을 낭비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정 업체와 계약 기간이 과도하게 길고 수익을 몰아준다는 의견도 나왔다.

서울도시철도공사는 스크린도어 설치 업체에 특혜를 줬다가 감사원에 적발되기도 했다.

김영옥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장, 서울시약사회와 ‘건강한 서울’ 위한 간담회 개최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영옥 위원장(국민의힘, 광진3)은 지난 29일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서울시약사회 김위학 회장 및 임원진들과 간담회를 갖고, 약사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서울 시민의 건강증진과 약물 안전관리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는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약칭: 돌봄통합지원법)에 따른 조례안 추진에 대한 약사회의 제안과 함께 약물 오남용 예방, 복약지도 강화, 지역 사회 내 다제약물관리 체계 확립 등 약사의 역할과 건강한 서울 구현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김 위원장은 “약물 안전 사용에 대한 시민 인식 제고는 건강한 사회의 출발점”이라며 “신뢰받는 약사와 함께하는 약물관리 등 건강 관리체계 구축이 절실하다”라고 밝히며 “공공약료와 지역 사회 건강 관리에서 약사의 역할은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하였다. 간담회에서는 최근 제정된 돌봄통합지원법의 시행을 앞두고, 지역 내 약사의 공공적 역할 확대에 대한 제안도 이루어졌다. 다제약물복용 고위험군에 대한 약력관리, 복약 상담 등 서비스의 돌봄통합지원체계 내 필요성에 대해서도 향후 토론회 등을 통해 함께 논의될 예정이다. 특히 고령화 사회로 접
thumbnail - 김영옥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장, 서울시약사회와 ‘건강한 서울’ 위한 간담회 개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