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삼성 관계자 ‘사전접촉’ 형식 조사…사실상 수사개시

특검, 삼성 관계자 ‘사전접촉’ 형식 조사…사실상 수사개시

입력 2016-12-19 15:31
수정 2016-12-19 15: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밀유지 등 고려…진술 내용에 따라 신분 바뀔 수 있다” 정식 소환조사 앞서 제3의 장소에서 이례적 접촉·뇌물죄 정조준

‘최순실 게이트’ 수사를 맡은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삼성그룹에 대한 수사에 사실상 착수한 것으로 보인다.

특검팀은 삼성그룹 관계자를 최근 만나 사전 정보수집을 한 사실이 있다고 19일 밝혔다.

접촉 장소는 특검 사무실이 위치한 서울 강남구 대치동 D 빌딩이 아닌 다른 장소라고 특검팀은 설명했다. 접촉한 당사자가 누구인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특검 관계자는 정식 수사개시에 앞서 삼성 측 인사를 참고인이나 피의자 등 어떤 신분으로 소환 조사할지 등을 결정하기 위해 이런 조치를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특검은 사전접촉 형식으로 사실상 수사를 개시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특검팀의 대변인인 이규철 특검보는 사전접촉 대상자의 신분에 관해 “진술 내용에 따라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며 피의자로 입건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또 접촉 대상자에게서 참고인 진술서를 받았는지는 “지금 말할 수 없다”고 반응했다.

특검이 수사와 관계된 인물을 정식 소환하지 않고 외부에서 사전 접촉하는 것은 다소 이례적이다.

이 특검보는 이와 관련해 “현재 수사 준비 상황인 점과 수사 기밀 (유지) 등을 고려해 일단 외부 장소를 택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소환하거나 접촉하는 사람들이 누구인지 알려지면 피의 사실(혐의)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며 특검팀의 판단에 따라 향후 소환자 공개 여부를 달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검팀이 삼성 관계자를 조사한 것이 확인됨에 따라 대기업 가운데 삼성이 특검 수사의 주 표적이 될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법조계에서는 최 씨 모녀에 대한 삼성의 특혜 지원 의혹과 관련해 특검팀이 박상진 삼성전자 대외담당 사장을 불러 사실상의 조사를 한 것이라는 추정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재용 부회장 소환조사를 위한 일정 조율도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추측도 제기된다.

더불어민주당 도종환 의원실이 최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작년 8월 최순실의 독일 현지법인인 비덱스포츠의 전신 코레스포츠와 승마 선수 지원 등을 명목으로 약 200억 원을 지원하는 계약서를 작성했다.

이 계약으로 실제 혜택을 본 것은 최 씨 딸 정유라 씨뿐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특검은 이와 관련해 뇌물죄 적용을 염두에 두고 수사할 것으로 보인다.

특검은 롯데그룹 측과도 비슷한 형식의 접촉을 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를 부인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