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원은 음료를 주문할 때 당도 조절을 요청하면 당 함량이 얼마나 줄어드는지도 분석했다. 기존 당도와 ‘덜 달게’, ‘반으로 달게’ 세 단계로 구분해 조사한 결과 ‘덜 달게’의 경우 당 함량이 평균 15%, ‘반으로 달게’는 평균 40% 줄었다. 이에 따라 연구원은 “당 섭취를 줄이기 위해 단맛 정도를 정량화해 선택할 수 있는 ‘당도 선택제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주성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장은 “고당 음료의 당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덜 단 맛’을 선택할 수 있는 소비 환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24-07-0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