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사는 10~17세 아동 중 정신건강 검사를 권유 받은 아동 10명 중 7명은 별도의 상담이나 치료 등의 조치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서울 아동의 양육 및 생활환경, 정책 수요를 분석한 ‘2023 서울시 아동종합실태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10~17세 아동이 정신 건강 검사를 권유 받은 경우는 3.0% 였지만 이중 71.6%가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았다.
서울시 관계자는 “아동의 정신 건강은 2021년에 비해 개선됐지만 양육자의 부정적인 인식으로 전문가의 진단, 치료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정신건강에 대한 양육자의 부정적인 인식과 부담 없이 방문하는 신뢰성있는 심리 전문기관의 부족으로 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내년 서울시는 아동의 마음 성장을 돕는 ‘서울 어린이 활짝센터’를 설립할 예정이다.
이미지 확대
서울시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서울시 제공
또 코로나19가 유행하던 2021년과 2023년 응답자들이 느끼는 감정을 수치화해 비교한 결과, 행복은 3점 기준 1.88점에서 2.3점으로 올랐다. 우울(2.14점→1.70점), 화(2.08점→1.75점), 외로움(2.13점→1.66점), 불안(2.22점→1.68점)은 줄었다.
주중 방과 후 친구들과 노는 시간은 190.2분으로 2021년 142.9분보다 늘었다. 다만, 팬더믹 이전인 2017년 360.1분, 2019년 382.3분으로는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종합실태조사는 아동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쓰기 위해 2년마다 하는 것으로, 국가 승인통계다. 서울에 사는 18세 미만의 아동을 양육하는 2520가구를 대상으로 지난해 11∼12월 가구 방문 면접조사 방식으로 이뤄졌다. 아직 의사 표현이 어려운 아이는 부모의 응답을 참고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