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45.5% 규칙적인 운동…전년보다 100만 명 증가

국민 45.5% 규칙적인 운동…전년보다 100만 명 증가

입력 2014-02-17 00:00
수정 2014-02-17 13: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0대 여학생 참여율 20.6%로 가장 운동 안 해

우리나라 국민 가운데 규칙적으로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사람이 100만 명이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해 11월과 12월에 걸쳐 전국 10세 이상 9천 명을 대상으로 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신뢰도 95%, 오차범위 ±1.03%)를 실시한 결과 주 1회 이상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사람이 45.5%에 이르렀다고 17일 발표했다.

이 같은 수치는 2012년의 43.2%보다 2.3% 증가한 것이며 전체 인구로 계산하면 생활 체육 참가자가 100만 명이나 늘어났다.

한 달에 한번도 운동을 하지 않는 생활체육 미참여율은 2012년 51.8%에서 지난해 41.8%로 10%나 줄었다.

성별로 보면 여성의 참여율이 40.0%에서 43.3%로 3.3% 증가했으며 남성은 46.6%에서 47.8%로 소폭 늘어났다.

연령별로는 30대가 39.6%에서 49.8%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그다음으로 20대가 5.0%, 60대는 3.1% 증가세를 보였다.

10대 여학생은 운동 참여율이 2012년 25.3%에서 지난해 20.6%로 떨어지며 가장 낮았다.

지역별 생활체육 참여율은 전남이 67.2%로 가장 높았고 제주 60.2%, 광주 57.8%, 인천 53.6%, 서울 50.7% 순이다.

충남의 생활체육 참여율이 36.5%로 가장 낮았다.

생활체육 참가율이 증가하면서 국민 1인당 체육 활동에 투자하는 비용은 2012년 연 48만9천600원에서 지난해 61만3천416원으로 25.2%나 증가했다.

지난해 10세 이상 우리 국민이 생활체육에 투자한 총비용은 약 12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실태조사 응답자의 72%가 체육 활동으로 인해 의료비가 감소했다고 밝혀 경제적 파급효과는 더욱 클 것으로 보인다.

생활체육 참여 종목은 걷기가 31.8%로 가장 많았고 등산(22.6%), 헬스(9.7%), 축구(9.0%), 자전거(6.9%), 수영(6.7%), 배드민턴(5.4%) 순이다.

문체부는 10대 여학생들의 생활체육 참여율을 높일 수 있도록 치어리딩, 피구, 힙합·재즈, 요가, 피트니스 등 특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교를 지난해 184개교에서 올해 850개교로 확대할 방침이다.

또 생활체육을 혼자 하기보다 친구, 가족들과 함께 참여하는 방식으로 변화되는 만큼 전 세대가 어울려 다양한 종목을 즐길 수 있는 종합형 스포츠클럽을 지난해 9개에서 올해 19개소로 확대하는 등 체육시설 공급 방식을 바꿀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