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메달 레이스 삐걱…3회 연속 톱10 ‘빨간불’

<올림픽> 메달 레이스 삐걱…3회 연속 톱10 ‘빨간불’

입력 2014-02-17 00:00
수정 2014-02-17 09: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메달밭 쇼트트랙·빙속 부진…남자는 노메달 우려도한국 취약종목서 메달 12개 늘어난 것도 영향

겨울올림픽 3회 연속 종합순위 10위 이내 진입이라는 한국 선수단의 목표에 빨간불이 켜졌다.
대한민국 쇼트트랙 대표팀의 이호석(오른쪽)이 13일 러시아 소치 해안클러스터의 아이스버그 스케이팅 팰리스에서 열린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 경기에서 미끄러져 넘어진 뒤 다음 주자와 급하게 터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한민국 쇼트트랙 대표팀의 이호석(오른쪽)이 13일 러시아 소치 해안클러스터의 아이스버그 스케이팅 팰리스에서 열린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 경기에서 미끄러져 넘어진 뒤 다음 주자와 급하게 터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2014 소치 동계올림픽이 반환점을 돈 15일(이하 현지시간)까지 우리나라는 금·은·동메달 하나씩을 수확하는 데 그쳐 종합 순위 16위에 처져 있다.

대회 개막 나흘째였던 11일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500m에서 이상화(서울시청)가 대회 2연패를 이루면서 우리 선수단의 첫 메달을 금빛으로 장식했고, 13일에는 쇼트트랙 여자 500m에서 박승희(화성시청)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15일에는 쇼트트랙의 차세대 여왕 심석희(세화여고)가 여자 1,500m에서 은메달을 보탰다.

반면 남자 선수들은 아직 하나의 메달도 수확하지 못했다.

한국은 2006년 토리노올림픽에서 금6·은3·동2개로 7위를 차지했고 2010년 밴쿠버올림픽에서는 금6·은6·동2개로 역대 최고 성적인 5위까지 올라섰다.

우리 선수단은 소치 땅을 밟기 전 금메달 4개 이상을 획득해 3회 연속 종합순위 10위 안에 든다는 목표를 세웠다.

외신에서도 금메달 6개 이상을 전망하는 곳이 잇따를 정도로 이루기 어렵지 않은 목표로 여겨졌다.

하지만 한국의 강세 종목인 쇼트트랙과 스피드스케이팅에서, 특히 남자 종목에서 부진한 것이 메달 갈증으로 고스란히 이어졌다.

스피드스케이팅의 이승훈(대한항공)이 4년 전 은메달을 딴 남자 5,000m에서 12위에 그치고 이어 1,500m에 세 명이나 출전한 남자 쇼트트랙 대표팀,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500m의 ‘디펜딩챔피언’ 모태범(대한항공) 등이 줄줄이 메달권 밖으로 밀리면서 우려가 싹텄다.

이상화의 금메달로 본격적인 메달 사냥이 시작되는 듯했지만 모태범이 주력 종목이었던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1,000m에서도 메달 소식을 전하지 못하고,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에서는 결승 진출에도 실패하는 등 다시 부진이 이어졌다.

우리나라가 1992년 알베르빌 대회를 시작으로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대회를 제외하고 5차례 정상을 지킨 쇼트트랙 남자 1,000m에서도 노메달로 물러나면서 선수단 분위기는 더욱 가라앉았다.

이번 대회에 걸린 금메달은 총 98개다. 12개 종목이 새로 정식종목이 돼 4년 전보다 금메달 수가 증가했다.

하지만 한국이 출전하지 않는 피겨 단체전 외에도 취약 종목인 설상에서만 10개의 금메달이 늘어나 오히려 우리에게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이제 남은 일정 중 한국이 금메달을 기대할 수 있는 종목은 심석희를 앞세운 쇼트트랙 여자 1,000m와 3,000m 계주, 대회 2연패를 노리는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의 김연아 정도다. 세 종목에서 모두 애국가를 울리면 금메달 목표치는 채울 수 있다.

하지만 은·동메달 수도 적어 금메달이 4개가 되더라도 종합순위 10위 안에 든다고 장담할 수 없다.

현재 금메달 4개 이상을 딴 나라 중에서는 폴란드가 은·동메달 없이 금 넷으로만 8위에 올라 있다.

7위 노르웨이는 금메달 4개 외에 은메달과 동메달도 각각 3개, 7개나 된다.

현재로선 8위 폴란드부터 9위 중국(금3·은2)과 10위 벨라루스(금3·동1)가 그나마 한국이 추격할 만한 상대다.

하지만 바이애슬론에서만 금메달 두 개를 따는 등 이미 역대 최고 성적을 넘어선 벨라루스만 하더라도 신설 종목인 바이애슬론 혼성계주 등에서 금메달을 추가할 수 있어 그리 만만한 상대들은 아니다.

11위 오스트리아(금2·은4·동1)도 언제든 10위 안에 들 전력이다.

이승훈이 밴쿠버 대회에서 은메달을 딴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10,000m를 비롯해 팀 추월, 변수가 많지만 쇼트트랙 남자 500m 등에서 메달을 보태주지 못한다면 한국은 14위에 머물렀던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대회(금2·은2) 이후 12년 만에 다시 10위권 밖으로 밀려날 가능성도 적지 않다.

전병주 서울시의원, 2025년도 제1회 추경으로 광진구 학교 90억원 및 지역 발전 44억원 확보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전병주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 광진1)은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광진구 교육환경 개선과 지역 인프라 확충을 위해 교육청 예산 90억원, 광진구 지역투자 예산 44억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전 의원은 “용곡초, 용곡중, 대원고 등 관내 학교의 시설 노후화 해소와 안전성 강화를 위해 예산을 투입했다”며, 특히 용곡초 본관동·서관동과 용곡중 교사·교육정보관·청솔관의 드라이비트 해소 사업에 29억원을 편성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용곡중 급식실 전면 개선에 3억 9000만원, 학생식당 신설에 1억 8000만원, 대원고 급식실 환기 개선에 3억 3000만원을 반영했다. 이에 전 의원은 “학교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꼭 필요한 예산만 반영한 만큼 교육 환경이 실질적으로 개선될 것”이라며 “진정한 교육은 안전한 공간에서 출발한다는 관점에서 예산 확보에 집중했다”고 강조했다.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지역투자사업 예산 44억원도 확보됐다. 특히 도시 안전과 교통 분야의 생활밀착형 사업이 중점 반영됐다. ▲군자역 역사 환경 개선에 1억원 ▲구의동, 자양동, 중곡동 일대 시도 보도 유지관리 사업에 3억원 ▲중곡1~4동 일대의 하수관로 정비에는
thumbnail - 전병주 서울시의원, 2025년도 제1회 추경으로 광진구 학교 90억원 및 지역 발전 44억원 확보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