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국보가 아니다”… 선동열이 글로 쓴 48년 야구 인생

“나는 국보가 아니다”… 선동열이 글로 쓴 48년 야구 인생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19-10-22 21:02
수정 2019-10-23 01: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화려한 선수 시절 실패 극복기 담아… 내년 2월 뉴욕 양키스 유학길 올라

이미지 확대
선동열 전 야구감독
선동열 전 야구감독
‘국보급 투수’라는 별칭으로 한국 프로야구사에 전설을 쓴 선동열(56) 전 감독이 ‘야구는 선동열’이라는 제목의 자서전을 출간했다. 내년 2월 뉴욕 양키스로 야구 유학을 떠나기 앞서 풀어낸 48년간의 ‘야구 인생’ 이야기다.

선 전 감독은 22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출간 기념 간담회를 열어 화려한 선수 시절 이면의 실패 극복기와 평생을 존경했던 최동원 선수에 대한 그리움을 전했다.

선 전 감독은 대필 작가가 아닌 자신의 손으로 직접 써 내려간 자서전을 ‘나는 국보가 아니다’라는 자아 성찰로 시작한다. 선 전 감독은 1996년 일본 프로야구 주니치 드래곤스에 진출했지만 첫해 처절한 좌절을 맛봤다. 한국에서 국보급이라 불리던 자신이 부진한 성적으로 3군까지 강등됐다. 그러나 선 전 감독은 현실을 부정하는 대신 “스스로에게 부끄럽지 않은 공을 던지겠다”는 각오로 이듬해 38세이브 평균자책점 1.28을 기록했다. 그는 1999년을 끝으로 은퇴할 때까지 ‘주니치의 수호신’으로 생존한 비결은 ‘실패’에서 나왔다고 말했다.

선 전 감독은 평생 우상으로 삼은 ‘무쇠팔’ 최동원 전 한화 이글스 2군 감독에 대한 추억도 빼놓지 않았다. 동시대의 라이벌로 명승부를 펼친 두 투수의 일화는 영화 ‘퍼펙트 게임’으로도 제작됐다. 선 전 감독은 “동원이 형은 나의 우상이었고 공을 던지는 걸 보면 감탄스러워서 늘 입을 벌리고 있었다”면서 “최동원이라는 목표가 있어서 선수로서 성공하지 않았나 싶다”고 회고했다. 그는 지도자로서도 시련과 굴곡을 겪었다. 삼성 라이온즈 감독 시절엔 우승하고도 ‘재미없는 야구’라는 혹평에 시달렸고, 고향팀 KIA 타이거즈로 와서는 성적 부진과 선수단 관리 문제로 많은 비난을 받았다. 선 전 감독은 다시 9회말 투아웃 풀카운트에 맞닥트린다면 인생의 결정구로 직구를 던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투명하고 왜곡되지 않은 야구인의 삶을 살고 싶다는 바람에서다.

글 사진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2019-10-2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