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에서 골 수가 줄어드는 건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1994년 미국, 1998년 프랑스대회에서는 경기당 2.7골이 터졌다. 그러던 것이 2002년 한·일월드컵에서는 2.5골로 줄었고 2006년 독일대회와 2010년 남아공월드컵에서는 2.3골로 뚝 떨어졌다. 아시아와 아프리카 국가들의 축구 수준이 올라온 데다 조직적인 수비 전술이 개발되면서 시원한 골이 자취를 감춘 것이다.
이미지 확대
브라주카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브라주카
그림 같은 골을 기다리는 팬을 위해 아디다스는 새 공인구에 심혈을 기울였다. 2014년 공인구 브라주카를 역대 최소인 단 6개의 조각으로 빚었다. 완벽한 구 형태에 가까워져 더 정확해졌다.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표면에 작은 돌기를 만들었다. 그 결과 브라주카는 지난 대회 공인구 자블라니보다 20% 이상 빨라졌다.
하지만 골키퍼들에겐 불만이다. 콜롬비아 대표팀의 골키퍼 다비드 오스피나(니스)는 “브라주카는 너무 가볍다”면서 “축구는 골이 터져야 열정이 생기는 스포츠라는 점은 알고 있지만, 이 공은 골키퍼로서 막기가 너무 어렵다”고 털어놨다. 그러나 지난 대회 득점 증가에 별 영향을 끼치지 못한 자블라니처럼 브라주카도 소용없을 것이라는 어두운 전망도 있다. 지난 대회 내내 자블라니는 혹평에 시달렸다. 디에고 마라도나 당시 아르헨티나 감독은 “공이 똑바로 날지 않는다”고 했고 브라질대표팀의 호비뉴(AC밀란)는 “이 공을 만든 사람은 축구를 하지 않는 것이 확실하다”고 말했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2014-06-13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