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첫 항해에 국제사회 견제 美 “中군사예산 투명치 않다”
중국이 첫 항공모함 바랴크함을 바다에 띄우자 미국이 예민한 반응을 보이며 양국 간 신경전이 펼쳐지는 모습이다.
빅토리아 뉼런드 미 국무부 대변인은 10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중국 항모와 관련한 질문에 “중국의 투명성 부족을 우리는 때때로 우려해왔다.”면서 “중국은 군수품 획득이나 군사예산과 관련해 미국만큼 투명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타이완도 11일 ‘항공모함 킬러’로 불리는 슝펑(雄風)ⅲ 순항 미사일을 공개하는 등 긴장된 반응을 보였다.
반면 중국은 아직은 ‘걸음마 단계’라는 식으로 톤을 낮추는 모습이다. 중국은 항모 핵심장비인 첨단 레이더 등을 서방에서 수입하는 데 차질이 빚어질까 봐 국제 사회의 견제를 우려하는 눈치다. 중국은 1989년 톈안먼(天安門) 사태 이후 유럽과 미국으로부터 첨단 무기 수출 제한 조치를 적용받고 있다.
인줘(尹卓) 인민해방군 해군 소장은 “프랑스의 예로 볼 때 항모전단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10년 정도의 시일이 필요하며, 항모 탑재 전투기 조종사들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관건”이라고 밝혔다.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도 “항모는 중국 신권력의 상징도 아니고 체면 세우기용도 아니다.”라고 밝혔다. 중국 언론들은 또 바랴크함이 정식으로 인민해방군 편제에 들어가게 되면 장병 2000여명이 배치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미 항모 승조원 6000여명의 3분의1 수준이다. 바랴크함에는 전투기와 헬리콥터 등 50여대의 항공기가 탑재된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2011-08-12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