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오바마 6번째 만남
中 설득·압박 양면작전 피력50분 동시통역 회담 ‘밀도’

비엔티안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꽃다발 받는 朴대통령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박근혜 대통령이 6일 라오스 비엔티안 왓타이 공항에 도착해 영접 나온 관계자로부터 꽃다발을 받고 있다.
비엔티안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비엔티안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박근혜 대통령과 버락 오마마 미국 대통령은 이날 오후 50분간의 비공개 회담이 끝난 직후 언론 앞에서 공히 ‘사드’를 주요하게 언급했다. 지난 3일 미·중 정상회담과 5일 한·중 정상회담에서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비공개로 주고받던 사드 얘기를 두 정상이 이처럼 공개적으로 거침없이 했다는 것은 사드 배치를 반드시 관철시키겠다는 의지 표현으로 해석된다. 중국 앞에서는 최대한 설득하는 모습을 보이는 한편 한·미끼리는 강력한 의지를 드러내는 ‘설득과 압박의 양면작전’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오바마 대통령은 회담이 끝난 직후 언론에 가장 먼저 사드 얘기를 꺼내는 등 단호한 입장을 보였다. 사드 배치는 중국의 반대 등으로 후퇴할 사안이 결코 아니라는 점을 강력히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오바마 대통령의 강경한 자세는 사드 배치가 미국의 전략적 이익과도 부합한다는 점을 암시한다고도 볼 수 있다.
두 정상은 또 대북 제재 이행 과정에서 중국의 역할을 강조함으로써 중국이 국제적 대북 제재 공조 라인에서 이탈하는 것을 경계했다. 중국이 사드를 핑계로 대북 제재를 느슨하게 가져갈 가능성에 대해 ‘견제구’를 날린 셈이다. 결국 사드는 북한 도발에 대한 방어용인 만큼 중국은 딴죽을 걸지 말고 계속 대북 제재를 성실히 이행하라는 메시지인 셈이다.
박 대통령이 오바마 대통령 앞에서 “통일은 북한 주민도 동등하게 대우받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힌 것도 주목된다. 최근 박 대통령은 흡수통일을 기정사실화하면서 김정은과 북한 주민·간부를 분리하는 발언을 불사해 ‘레짐 체인지’(김정은 정권 교체)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 바 있다. 따라서 이날 오바마 대통령 앞에서 똑같은 입장을 밝힌 박 대통령의 통일 구상은 한·미 간 이견이 없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이번 박 대통령의 러시아, 중국, 라오스 3국 순방은 한·미의 강력한 공조, 그리고 이에 대한 중국의 반발과 견제 구도를 확인시켜 준 셈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오늘 회담은 50분이었지만 동시통역으로 했기 때문에 평소 순차통역이었다면 1시간 40분이나 회담을 가진 셈”이라고 말해 양국 정상 간 협의가 심도가 있었음을 강조했다.
비엔티안 김상연 기자 carlos@seoul.co.kr
2016-09-07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